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의 만시(輓詩)와 애도(哀悼)의 서사(抒事)

원문정보

Hoejae's Poem and Mourning Narrative by Park Gwang-Ok

김태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oejae Park Gwang-ok was a schola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broke out, he actively engaged in volunteer activities, but passed away in the early stages of the war. He did not stand out in politics or engage in much academic activity, nor did he produce many influential scholars among his disciples, so he was considered a general writer and scho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Rather than his image, he is known as a volunteer army activist. This kind of image interferes with accurately identifying the actual historical figure named Park Gwang-ok. Although Park Gwang-ok engaged in righteous army activities during the last year or two of his life, he was a typical scholar, bureaucrat, and writer of the Joseon Dynasty. As a historical figure, his image has been formed only in terms of his volunteer army activities, mainly due to the context of Joseon history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ut now we are trying to remove the image of him as a volunteer army activist and understand him as a writer. Since he was a writer and intellectual, to understand him, the collection of works he produced must be used as the primary literary text. His collection of works is not very abundant, and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sentences included are poems. What is unique about his poetry is that there are many lament poems (about 50 pieces) out of a total of 300, and among them, many lament poems were requested by others. His lament poems include poems commemorating parents and relatives, poems commemorating the death of famous people and friends with whom one was associated, and poems written on behalf of others at the request of others.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lament poems indicates the breadth of his human interactions, and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lament poems that were requested by others also means that he played a leading role in ritual culture as a member of the Jaeji Sajok(在地士族) or regional scholar family. And his condolatory poem(悼亡詩) and aesthetics of commemoration unfold his own colorful and unique narrative of mourning within the framework of idiomatic and clichéd poetic language and standardized expressions.

한국어

회재 박광옥은 조선 전기 문인이다. 그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다가 전란 초기에 타계하였으며, 정계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거나 학문 활동을 크게 펼치지도 않았고 문하에서 영향력 있는 학자를 많이 배출하지도 않아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문인, 학자라는 이미지보다 의병활동가로 알려져 있는 편이다. 이런 이미지 가 실제 박광옥이라는 역사인물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방해가 된다. 박광옥은 생애 마지막 1, 2년 간 의병활동을 전개하기는 하였지만 그는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학자관료이며 문인이었다. 역사인물로서 그는 주로 임진왜란이라는 사건이 갖는 조선역사의 맥락 때문에 의병활동이라는 측면에서만 그의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 지만 이제 우리는 그에게서 의병활동가라는 이미지를 걷어내고 문인 으로서 그를 이해하려고 한다. 그는 문인, 지식인이었으므로 그를 이 해하려면 그가 생산한 문집을 1차 문헌적 텍스트로 삼아야 한다. 그의 문집은 분량이 많지 않으며 그나마 수록된 문장은 시가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그의 시문 가운데 특이한 점은 전체 300여 편 가운데 만시 輓詩가 50 편 가량으로 만시가 많으며 그 가운데 또한 남의 부탁을 받은 만시가 많다는 점이다. 만시의 종류는 부모와 혈육을 추모하는 시, 교유한 명사와 벗의 죽음을 추모하는 시, 남의 부탁을 받고 대신 지은 만시이다. 만시가 많다는 뜻은 그의 인간적 교유의 넓이를 나타내며 남의 부탁 을 받은 만시가 많다는 뜻은 한편으로 그가 재지사족으로서 의례문화 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의 도망시, 추모의 미학은 관용적이고 상투적인 시어와 정형화한 표현양식의 틀에서 그만의 다채롭고 개성 있는 애도의 서사를 펼쳐내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회재 박광옥에 관한 기억과 이미지
Ⅲ. 박광옥의 만시輓詩와 애도哀悼의 서사舒事
Ⅳ. 박광옥 애도 시문의 심층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태완 Kim, Tae-Wan.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특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