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주제 2 : 문화와 해석학

가다머와 아도르노 사유의 동일성과 비동일성 - 과학기술문명 비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Identity and Non-Identity in Gadamer and Adorno's Thought - Focusing on the Critic of Science and Technology Civilization -

이하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general.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imilarities between Gadamer and critical theory. especially Adorno's philosophical thought. However, affinities are found in science and technology criticism and media criticism. Both share a general awareness of the dangers and destructiveness of the technical rationality that made science and technology possible. In the criticism of the media's consciousness manipulation function,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micro-analysis at the individual level, but the basic perception is the sa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evident in their analytical perspectives and practical alternatives for solving problems. While Adorno problematizes the issue from a sociological and social philosophical perspective, Gadamer does not go far beyond a general discourse of the various negative effects of technology on human life. Gadamer directly criticizes science and technology, whereas Adorno focuses on scientific methodology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suggests alternatives. Adorno recognized the emancipatory potential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Gadamer denied it. Where Gadamer looked to the great power of European culture as the key to solving the problems of a technological civilization, Adorno criticizes the materialism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emphasizes the position of the members of society in the social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Where Gadamer emphasize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experts and engineers, Adorno warned against them becoming social engineers as servants of power and practitioner of administrative thought. If Gadamer developed the idea of concreteness along with a systematic theoretical design for the critique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Adorno organically combined his theory with a sociological analysis of science, then their work is more "theory-productive" than any other philosophical insight into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어

일반적으로 가다머와 비판이론, 그 중에서도 아도르노의 철학적 사 유와의 유사성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과학과 기술비판 그리고 매체비판에 있어 친화성이 발견된다. 양자는 과학기 술을 가능하게 한 기술적 합리성의 위험과 파괴성에 대해 인식을 공유 한다. 매체의 의식조작 기능에 대한 비판에 있어서도 각론적 차원의 미세분석에 차이가 있을 뿐이지 기본적인 인식은 같다. 그러나 분석관 점과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과 관련해 양자의 차이는 뚜렷하다. 아도르 노가 사회학-사회철학적 관점에서 문제를 쟁점화한다면, 가다머는 과학기술이 인간 삶에 미치는 다양한 부정성에 대한 일반적 논의를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가다머는 과학과 기술에 대해 직접적으로 비판 했지만, 아도르노는 과학방법론과 경험연구 방법론을 집중적으로 비 판하며 대안을 제시했다. 아도르노가 과학기술의 해방적 잠재력을 인 정하지만. 가다머는 그것을 부정했다. 가다머가 과학기술 문명으로 발생한 문제 해결의 열쇠로 유럽문화의 위대한 힘에서 찾았다면 아도 르노는 과학기술 물신주의 비판과 함께 과학기술의 사회적 사용방식 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입장을 강조한다. 가다머가 전문가와 엔지니어 의 역할과 책임성을 강조하고 있다면, 아도르노는 전문가와 엔지니어 가 권력의 봉사자, 행정적 사유의 실천가로서 소셜 엔지니어가 되는 것을 경계했다. 가다머가 과학기술 문명 비판을 위한 체계적 이론 설 계와 함께 구체성의 사유를 전개라고 아도르노가 자신의 이론과 과학 사회학적 분석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켰다면, 이들의 논제는 과학기술 에 대한 그 어떤 철학적 통찰보다 ‘이론생산적’이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과학과 과학방법론 비판
Ⅲ. 과학기술과 지배
Ⅳ. 정보기술과 매체 그리고 사회비판
Ⅴ. 결론에 대신하여: 새로운 과학기술 시대의 실천이성의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하준 Lee, Ha-Jun.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