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주제 2 : 문화와 해석학

‘부끄러움’, ‘책임’이 요청되는 우리 시대의 문화 - 우리의 야만성을 각성하기 위한 절실한 과제로서 -

원문정보

A Culture of Our Time in Which ‘Shame’ and ‘Responsibility’ are Called Upon - Like an Urgent Task to Awaken Our Barbarity -

김영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am currently diagnosing our society as a society that is not aware of ‘shame’. As a case in point, If you sit in a 'pregnant woman's seat' with no punishment or coercion, you sit there pretending not to know. And there are cases of dishonesty toward money and positions of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This attitude of high-ranking officials in the ruling class can certainly affect the general public watching TV. And the general prevalence of this atmosphere can be attributed to the over-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ideology of freedom in our society. The interpretation of the greater rights of freedom for all citizens will make coercion and domination acceptable, which will inevitably lead to the exposure of barbarism caused by conflict. This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 phenomenon revealed in the limitations of the European concept of freedom. Therefore, you should be able to feel 'ashamed' of being able to accept other people's evaluations. You should have the courage to be ashamed of your shame. Feeling 'ashamed' will introduce order in relation to the other with the other in mind. Rather, the expansion of "shame" may lead to "responsibility" beyond my actions, and I think "shame" and "responsibility" are more requested practical tasks for us living today.

한국어

필자는 현재 우리 사회를 ‘부끄러움’을 자각하지 못하는 사회로 진 단하고 있다. 이에 대한 단적인 예로, 처벌과 강제가 없는 ‘임산부 배려석’에 알고도 짐짓 모른 체하며 앉는 경우, 고위 공직자들의 금전 과 직위를 향한 부정직(不正直), 모순당착(矛盾撞着), 표리부동(表裏不同), 인면수심(人面獸心) 한 경우를 들 수 있겠다. 통치계층에 있는 고위직의 이러한 태도는 분명 TV를 보는 일반 대중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리고 전반적인 이러한 분위기의 팽배는 현재 우리 사회의 자유 이념의 과잉 해석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든 국민의 보다 큰 자유의 권리 해석은 자칫 강제와 지배를 용인할 수 있게 만들 것이고, 이는 갈등에 의한 야만성의 노출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유럽의 자유 개념의 한계에서 드러난 현상을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평가를 수용할 줄 아는 ‘부끄러움’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부끄러움을 부끄러워할 줄 아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 ‘부끄러움’을 느낀다는 것은 타자를 염두하여, 타자와의 관계에 질서 를 도입할 것이다. ‘부끄러움’의 확장은 오히려 나의 행위를 넘어선 ‘책임’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는데, ‘부끄러움’과 ‘책임’은 지금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보다 요청되는 실천 과제가 아닐까 싶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자유의 과잉과 야만성의 전개
Ⅲ. 서양 철학에서의 부끄러움(수치심)
Ⅳ. 레비나스의 부끄러움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걸 Kim, Young-Geol.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