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주제 1 : 근대 전환기 문화의 메타모퍼시스

북한의 양식업(1956~1963)과 진재환 단편소설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 (1964, 1978)의 개작 양상 연구

원문정보

Fish Farming in North Korea (1958-1963) and Chin Chaehwan’s Short Story, “A Shoal of Fish Goes to the River”(1964, 1978)

김성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short story "A Shoal of Fish Goes to the River" (1964) by North Korean writer Chin Chaehwan, with a focus on how North Korean literature reflects the regime's policies. The paper also examines the second edition of the story published in 1978, specifically through the process of rewriting the original, to explore the changes in the psyche of North Koreans during the period when state power was monopolized by Kim Il Sung. The original edition of the story revolves around the friendship between the protagonist, Taesŏng, and his colleague, Chunha. Taesŏng attempts a new technique of releasing fry into the river and the lake, known as the "natural way of fish farming."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haracters is resolved by Chunha's understanding of why Taesŏng wants to try the new technique. However, in the second edition of the story, the President (Kim Il Sung) appears, dictating the storyline. The conflict between Taesŏng and Chunha is resolved by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esident's order and though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olitical allegiance.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in North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A Shoal of Fish Goes to the River." Specifically, this study delves into the changes in North Koreans' psyche described in the second edition of the story after Kim Il Sung's monopolization of state power in the mid-1960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and second editions of the story,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how North Korean literature reflects and reinforces the regime's policies.

한국어

본 연구는 북한 소설가 진재환의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1964, 1978)를 두 가지 목적으로 분석한다. 우선 이 글은 1964년에 이 소설 이 어떠한 정책적 요구에 따라 창작되었는가를 밝힌다. 1963년 북한 은 ‘자연 양어’라는 치어 방류 중심의 양식업 정책으로 전환되고 있었다. 당시 신예작가였던 진재환은 이러한 수산업 정책에 따라 자연 양 어를 시도하는 양어공을 그렸다. 또한 이 글은 1978년에 출판된 이 소설의 개작본을 분석하여 1960년대 초중반과 1970년대 후반의 북 한 사회 변화를 추론한다. 1964년 원작은 대성과 준하라는 두 인물의 우정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다. 반면 1978년 개작본에서는 수령이라는 존재가 부각된다. 이야기도 우정이 중심이 아니라, 그 수 령의 사상을 이해하는 과정으로 바뀐다. 본 연구는 이렇게 진재환 단 편소설의 두 판본을 검토하여 북한 수산업 정책과 문학작품의 관계를 분석하고, 김일성 유일체제 성립 이후 북한 사회 정신구조의 변화를 추적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북한 양식업의 출발점과 그 발전
Ⅲ. 우정과 이해(理解):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1964)
Ⅳ. 우정의 향방과 사상의 자리: 개작된 「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1978)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희 Kim Sunghee.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