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저항성 운동 시 단관절 및 다관절 운동순서 차이가 신체구성, 기초체력, 등속성 근기능 및 최대근력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Difference of Single and Multi-Joint Exercise Order on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Fitness,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Maximal Strength during Resistance Exercise

유붕, 양우혁, 서태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order of single and multi-joint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fitness, isokinetic knee function, and maximal strength in male college students. [Method] For this study, thirty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a control group (CG, n=10), a single-multi joint exercise group (SMG, n=10), or a multi-single joint exercise group (MSG, n=10).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s performed resistance training for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confir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ercent body fat(p=.001) significantly decreased in SMG compare to CG, and knee isokinetic muscle fun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SMG and MSG compare to CG,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ost-hoc test. Grip strength(p=.00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MG compare to SMG, CG. Back strength(p=.001), sit-up(p=.001) and 1RM(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MG and MSG compare to CG. Sprint(p=.009)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MSG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Conclusion] According to our findings,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maximal strength increased regardless of exercise order. Single-multi joint exercises proved effective in reducing percent body fat, while multi-single joint exercises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sprint ability.

한국어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단관절 및 다관절 운동순서가 남자 대학생의 신체구성, 기초체력, 등속성 근기능 및 최대근 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30명의 성인 남성 대학생을 무선 할당하여 통제집단 (Control group, CG, n=10), 단관절-다관절 운동집단(Single-multi joint exercise group, SMG, n=10), 다관절-단관절 운 동집단(Multi-single joint exercise group, MSG, n=10)으로 구분하였다. 저항성 운동은 8주간 주 3회 실시하였으며, 집 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해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 다. [결과] 연구 결과 체지방률(p=.001)은 SMG가 CG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무릎 등속성 근기능은 SMG와 MS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악력(p=.001)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SMG가 CG, MSG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배근력(p=.001), 윗몸일으키기(p=.001), 1RM(p=.001)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SMG와 MSG가 CG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스프린트(p=.009)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MSG가 CG, SMG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무릎 등속성 근기능 및 최대근력은 운동순서에 상관없이 향상되며, 체지 방률 감소는 단관절-다관절 운동, 스프린트 향상은 다관절-단관절 운동이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신체구성
3. 저항성 운동프로그램
4. 무릎 등속성 근기능
5. 기초체력
6. 최대근력 (1RM)
7. 자료 처리
결과
1. 신체구성
2. 무릎(60°/sec) 등속성 근력
3. 기초체력
4. 1RM 최대근력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붕 Liu, Peng. 제주대학교
  • 양우혁 Yang, Woo-Hyeok. 제주대학교
  • 서태범 Seo, Tae-Beom. 제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