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림과 놀이에 미치는 효과 : 단일사례연구

원문정보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ith Oral Activity on Drooling and Pla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박소희, 홍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effect of oral activity an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drool and play using oral toy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ethods :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wo children (2 years and 8 months) experiencing developmental delays with sensory modulation problems in their oral sensory faculties. The research design was multi-baseline design cross-subjects among single-subject research ABA. Target behaviors were measured by drooling and interest and concentration in play using oral toys through the Goal Attachment Scale (GAS). In the 10 sessions that the children underwent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B), oral activity and proprioception-vestibular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ere applied. Results : The GAS of drooling improved from 0.25 for child A and -0.5 for child B during the baseline to 1.88 for child A and 1.4 for child B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follow-up was 3 for both child A and child B. Meanwhile, the GAS of play during the baseline was -0.75 for child A and 0.75 for child B, and 1.9 for child A and 1.1 for child B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follow-up was 1.33 for child A and 2 for child B. Conclusion : Oral activity and proprioceptive-vestibular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re effective in drooling and playing with oral toys in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problems in their oral sensory facultie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활동을 포함한 감각통합 치료를 적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2세 8개월의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남아 2명이었다. 단일대상연 구 ABA’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설계(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목표행 동은 목표성취도 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사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 장난감을 활용한 놀이 대한 관심과 집중으로 측정하였다. 중재기(B) 10회기 동안 구강활동과 고유-전정 중심의 감각통합치료 를 아동에게 적용하였다. 결과 : 침 흘림은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GAS)이 A 아동 0.25점, B 아동–0.5점에서 중재 기간에 는 A 아동 1.88점, B 아동 1.4점으로 향상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B 아동 모두 3점이었다. 놀이에 대한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은 A 아동은 –0.75점, B 아동은 0.75점에서 중재 기간 A 아동은 1.9점, B 아동은 1.1점이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아동 1.33점, B 아동 2점이었다. 결론 : 구강활동을 포함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설계
4. 검사자간 신뢰도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구강활동을 포함한 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침 흘림에 미치는 효과
2. 구강활동을 포함한 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놀이 관심과 집중에 미치는 효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소희 Park, Sohee. TOP스마일발달클리닉 작업치료사
  • 홍은경 Hong, Eunkyoung. 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