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7~18세기 조선의 발해사 저술에 인용된 중국 사료

원문정보

Chinese historical sources cited in the Joseon Dynasty's Balhae History writing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임상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reviewed Chinese literature cited in 『Dongguk Geography』, 『Seonghosaseol』, 『Dongsagangmok』, and 『Balhae Go』, which have relatively abundant citations among the Balhae history materials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hich became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Korea's perception of Balhae history. . In 『Dongguk Geography』, the fall of Balhae was quoted from 『Sokmunheontonggo』 rather than 『Liaosha』, and 『Seonghosaseol』 excerpted the contents about Balhae from 『Shindangseo』, 『Liosa』, 『Songsa』, 『Goryeosa』, etc. And he adds some of his own opinions. 『Dongsagangmok』 states that although Balhae is not part of our history,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area of our history. The Balhae article was based on the contents of Balhae Chronicles in 『Xin Tangshu』, and referenced 『Gu Tangseo』, 『Munheontongo』, and 『Jiji Tonggam』. The dispatch of envoys to Silla to Balhae in the 9th year of King Hyoso (700) is a new addition in 『Dongsagangmok』. In the 21st year of King Taejo's reign, the contents of 『History of Goryeo』 were included, and the story of Mala, a monk in the West Region, from Song Baek's 『Soktongjeon』 was introduced in the book. It seems that Soktongjeon is a mistake in 『Jiji Tonggam』. 『Songwon Gangmok』, which was cited in explaining the great turmoil of the Balhae refugees, is a nickname for 『Sok Autonomous Tonggam Gangmok』. In the revised version completed around 1793, 『Balhaego』 criticized the errors of 『Yosa』 and made reasonable geographical conclusions. There are 22 types of citations in 『Balhaego』, but the main text does not disclose most of the sources except when necessary. The part where the revised version of 『Balhaego』 differs the most from the draft is Jirigigo. Based on 『Shindangseo』 Chronicles of Balhae, 『Yosa』 geography, 『Wonil Tongji』, 『Heumjeong Bible Tongji』, 『(Dongguk) Literature Remarks』, 『Qing Il Tongji』, 『Dongguk Literature Remarks』, 『Yeoji Seungnam』, etc. Refer to . In the essay on poetry, it was quoted from 『Moonwonyeonghwa』, and in the national letters sent to Japan, it referred to 『Sok Nipponki』 and 『Later Japan』. As seen above, the Chinese cited literature in Yu Deng-gong's 『Balhaego』 is clearly differ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from the previous period. In his biography of Balhae, he politically criticized the contents of 『Yosa』, 『Seonggyeongji』, 『Daemyeongiltongji』, and 『Daechungiltongji』, and showed results that were close to the current geographical awareness.

한국어

본고는 한국의 발해사 인식의 중요한 전기가 된 17~18세기의 발해사 자 료 중 인용 문헌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東國地理誌』, 『星湖僿說』, 『東史綱目』, 『渤海考』에 인용된 중국측 문헌을 검토하였다. 『東國地理誌』에서 발해 멸망에 대하여 『遼史』가 아닌 새로이 『續文獻通考』에서 인용하였고, 『星湖僿說』은 『新唐書』, 『요사』, 『宋史』, 『高麗史』등 에서 발해에 대한 내용을 발췌하고, 일부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고 있다. 『東史綱目』은 발해가 우리 역사는 아니지만, 우리 역사의 영역과 관련해 서는 순망치한으로 밀접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발해 기사를 『신당서』 발해전의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舊唐書』, 『文獻通考』, 『資治通鑑』 등을 참 조하였다. 효소왕 9년(700)조의 발해의 신라 사신 파견은 『동사강목』에서 새로이 추가한 내용이다. 태조 21년(938)조에서는 『高麗史』의 내용을 싣고, 按說에서 宋白의 『續通典의 西域 승려 襪囉의 이야기를 소개하였다. 『續通典』은 『資治通鑑』의 착오인 듯하다. 발해 유민 大鸞河을 설명하며 인용한 『宋元綱目』은 『續資治通鑑綱目』의 이칭이다. 『渤海考』는 1793년경에 완성된 수정본에서 『遼史』의 잘못을 비판하고 합 리적인 지리 비정을 했다. 『발해고』 인용서 목록에는 22종이 있으나, 본문은 필요한 경우 이외에는 대부분 출전을 밝히지 않았다. 君考는 『구당서』와 『신당서』의 발해전을 기본으로 하고, 高王 설명에는 『문헌비고』(동국문헌비고)와 『동사강목』을 인용하였고, 武王은 『續日本紀』와 『唐會要』을 참조하고, 문왕의 설명에는 『杜陽雜編』을 『古今圖書集成』에서 재인용한 것으로 짐작된다. 按說에서 인용한 문헌이 『요사』, 『五代史』, 『宋史』宋琪傳, 『자치통감』이고, 그리고 명나라 凌迪知(1529~1600)의 『萬姓通譜』에서는 大氏의 연원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였다. 『渤海考 수정본이 초고본과 가장 많이 차이가 나는 부분이 地理考이다. <京府建置>는 『신당서』 발해전의 내용이고, <州縣沿革>은 『요사』 지리 지와 『元一統志』를 참조하였다. <山川古今名>에서 黑水 설명은 『欽定盛 京通志』를 참조한 것이고, 泥河는 『(동국)文獻備考』에서 인용하였다. <十 五府辨>은 유득공이 초고본과 달리 발해의 京⋅府⋅州의 위치를 새로이 비정한 부분이다. 인용한 자료는 『요사』 지리지, 『신당서』 발해전과 지리지, 그리고 『三國史記』, 『淸一統志』이다. 『魏書』나 『續日本紀』가 인용되기도 한다. <渤海新羅分界>에서는 『唐書』, 『賈耽郡國志』, 『淸一統志』, 『文獻備考』, 『遼史』, 「遼志」, 『三國史』, 「唐志」, 『輿地勝覽』을 참조하였다. 지리 고에서는 『遼史』의 잘못을 명확히 지적하고, 그러면서도 『요사』가 아니면 발해 군현의 명칭을 알 수 없다며 『요사』의 가치도 인정하였다. 그래서 발해 지리의 순서를 『唐書』를 먼저, 『요사』를 다음에 서술했다고 하였다. 藝文考에는 당과 일본이 발해와 관련된 國/書가 수록되어 있다. 당 玄宗 이 武王에게 보내는 칙서인 唐玄宗敕武王書 4건은 『文苑英華』에서 인용하 고, 일본에 보낸 국서는 『續日本紀』와 『日本後紀』를 참조하였다. 定安國考 에서는 『송사』 정안국전과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서 인용하였다. 이상에서 살펴 보았듯이 유등공의 『발해고』에서 중국 측 인용문헌은 이 전 시기와 그 양이나 질 모두 확연히 구분된다. 발해 지리 비정에서는 『遼史 』, 『盛京通志』, 『大明一統志』, 『大淸一統志』의 내용을 정치하게 비판하며, 현재 학계의 지리 인식에 근접하는 성과를 보여 주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東國地理誌』(1615년경)
Ⅲ. 『星湖僿說』(18세기 중반)
Ⅳ. 『東史綱目』(1778년)
Ⅴ. 『渤海考』(1793년)
Ⅵ. 맺는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임상선 Lim, Sang-sun. 대구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