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택시장 변동성의 상호 연계성 분석 : 다변량 GARCH 모형을 이용하여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of Housing Market Volatility : Using Multivariate GARCH Model

전해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of volatility in the housing market was analyzed using the CCC-GARCH(1,1) model and the DCC-GARCH(1,1) model.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re apartment sales prices, single-family home sales prices, and townhouse sales prices across the nationwide, Seoul, non-metropolitan areas, Seoul's Gangbuk area, and Gangnam area, and the time range is set from January 2004 to July 2023.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n the national housing sales price model,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oul and nationwide sales price returns was found to be larger tha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non-metropolitan areas and the entire country and between non-metropolitan areas and Seoul for all housing types. In the sales price model for apartments, single-family homes, and townhouses in Seoul, the siz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turns in Gangnam and Gangbuk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order of apartments, townhouses, and single-family homes, showing the phenomenon of synchronization of apartment sales prices between Gangnam and Gangbuk.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CC-GARCH model and the DCC-GARCH model were generally simil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of apartments were generally higher,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of townhouses were higher than those of single-family hom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의 변동성의 상호 연계성을 다변량 GARCH 모형의 CCCGARCH( 1,1) 모형과 DCC-GARCH(1,1) 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사용변수는 전국, 서울, 비수도권과 서울 강북권, 강남권의 아파트 매매가격, 단독주택 매매가격, 연립 주택 매매가격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4년 1월부터 2023년 7월까지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전국 아파트, 단독주택과 연립주택 매매가격모형에서 서울과 전국 매매가격 수익률 간의 상관계수값이 모든 주택유형에서 비수도권과 전국, 비수도권과 서울 간의 상관계수 값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아파트, 단독주택과 연립주택 매매가격모형에서는 강남 과 강북의 수익률 간의 상관계수값의 크기가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순으로 높게 나타 나 아파트 매매가격의 강남과 강북의 동조화 현상을 알 수 있었다. CCC-GARCH 모형과 DCC-GARCH 모형의 분석결과는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고 모든 지역에서 아파트의 상관 계수값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고 연립주택이 단독주택보다는 상관계수값이 높게 나타났다.

목차

< Abstract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선행연구 검토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Ⅲ. 연구모형
1. Multivariate GARCH 모형
2. Constant Conditional Correlation(CCC) 모형
3. Dynamic Conditional Correlation (DCC) 모형
Ⅳ. 연구결과
1. 변수설명
2. 분석결과
Ⅴ. 결론
< 국문요약 >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해정 Chun, Hae-Jung. 상명대학교 경영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