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he changes that occurred while modern Japan adopted Western culture, built new schools, and educated people affected modern Japanese science education. Peculiarly, a significant number of “science” sanctions were dealt with in the “reading” that corresponded to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 used in modern Japanese elementary curriculum. This peculiarity, which appeared in the Science Department, and after the elementary school age in 1886, tended to value practicality and nature in everyday life. This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content of science education during the 1872 academic system when scientific essence was pursued. In terms of content, the reading's science sanctions differ from science books in that they focus on grasping rough knowledge rather than in-depth exploration, and are more descriptive in terms of narrative methods, but explains difficult content through storytelling.
한국어
본 연구는 근대의 일본이 서양의 문명을 받아들여 학교를 만들고 국민을 교육하는 과 정에서 일어난 변화가 근대 일본의 과학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근대 일본의 초등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국어교재에 해당하는 ‘독본’에서는 상당수의 ‘이과’ 제재가 다루어지고 있다는 특이점이 있다. 1886년 소학교령 이후 등장한 ‘이과’와 함께 나타난 이러한 특이점은 과학적 본질을 추구하던 1872년 학제 시기의 과학교육 내 용과는 다소 다른 일상에서의 실용성과 자연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당시의 대표적 초등교육기관인 소학교 과정은 심상소학과 고등소학에서 사용되었던 교재인 ‘독본’은 각각 ‘심상소학독본’과 ‘고등소학독본’으로 구분되며 ‘이과’ 관련 제재는 두 독본 모두에서 나타난다. 단, 심상소학 과정에는 ‘이과’가 독립교과로 개설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독본을 통해 ‘이과’교육을 실시하였던 것으로 보이나, 고등소학 과정에서는 독립된 ‘이과’가 개설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본에서 이과 제재의 비율이 상당수였다. 내용적인 면에서 독본의 이과 제재는 나름의 세분화와 조직화를 이루고 있으나 깊이 있는 탐구보다는 대략적 지식을 파악하는 것에 중심을 두고 있으며, 서술방식 면에서 설 명적인 부분이 많지만 스토리성을 가미해 어려운 내용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목차
1. 일본의 근대교육과 배경
2. 일본의 근대 교과 속 이과(理科)의 출현
3. 독본 속의 이과교육 제재
4. 과학으로서의 이과와 생활지식으로서의 이과
5. 마무리
참고문헌(Reference)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小学校則http://www.simoyokote.sakura.ne.jp/komonzyodokkai/syouugakukyouusai/syouugakukyouusai.html(2023年2月19日検索)
- 2小学校教則大綱 https://ja.wikisource.org/wiki/小学校教則大綱(2023年2月19日検索)
- 3小学校ノ学科及其程度 https://ja.wikisource.org/wiki/小学校ノ学科及其程度(2023年2月19日検索)
- 4新撰理科書 1下 訂2版 https://dl.ndl.go.jp/pid/825935/1/2(2023年2月23日検索)
- 5近代書誌・近代画像データベース https://base1.nijl.ac.jp/~kindai/(2023年2月23日検索)
- 6성윤아(2016), 「근대 일본의 아시아 인식에 대한 고찰『문부성 검정교과서 『고등소학독본』을 중심으로」, 『일본학보』 108, 한국일본학회, pp.219-236. https://doi.org/10.15532/kaja.2016.08.108.219.
- 7성윤아(2015), 「해제」, 『고등소학독본』, 서울: 경진출판, pp.4-22.
- 8정의(2014), 「근대 일본의 서구숭배와 국수주의『메이지(明治)유신부터 청일전쟁까지를 중심으로」, 『日本思想』27, 한국일본사상사학회, pp.277』301.
- 9辻善之助(1930), 『増訂海外交通史話』, 内外書籍株式会社, p.757.
- 10大高泉(2001), 「明治の理科教科書と「理科」の出現」, 『筑波大学附属図書館報』, 筑波大学図書館課, pp.4 『5.
- 11小林昭三(2011), 「明治中期「理科」教育の新実相」, 『大学の物理教育』 17, 一般社団法人 日本物理学会, pp.20-24. https://doi.org/10.11316/peu.17.1_20
- 12田中彰(2006), 『메이지 유신과 서양 문명』이와쿠라 사절단은 무엇을 보았는가』,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pp.81』90.
- 13甲斐雄一郎(2008), 『国語科の成立』, 東洋館出版社, pp.165-175.
- 14板倉聖宣(2009), 『日本理科教育史』, 仮説社, pp.20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