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song-oriented music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solitud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ng-oriented music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solitud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lderly people aged 80 to 89 who were present at Senior Citizen Center A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30 people were wireless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each. The study period was from December 24, 2022 to January 31, 2023,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 ed in a total of 12 song-oriented music activities twice a week for 50 minutes per session,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activities. The Korean version of the Quality of Life Scale (K-CASP-16), the Satisfaction of Life Scale (LSI-Z), and the revised version of the Solitude Scale (UCL A-R) were used to measure the subject’s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solitude. In this study,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e-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sing the SPSS 25 statistical program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sponse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pre-post-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solitude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significant results were also derive d from the pre-post score of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sol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song-oriented music activities ar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 g the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reducing solitud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 safe environment and various musical experiences to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various music activities using familiar songs, and that group activities greatly helpe d reduce solitud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s well the immediate effect of music therapy could be verified through the responses of the subjects shown in each session.
한국어
본 연구는 노래 중심 음악 활동이 독거노인의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A 경로당에 출석하고 있는 만 80-89세의 독거노인 6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3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2년 12월 24일부터 2023년 1월 31일까지로, 실험 집단은 각 회기 당 50분씩 주 2회 총 12회기 동안 노래 중심 음악 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 집단은 어떤 활동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고독감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노인 삶의 질 척도(K-CASP-16), 삶의 만족도 척도(LSI-Z), 개정판 고독감 척도(UCLA-R)가 사용되었 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고독감 사전-사후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 t-test를, 실험집단 내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고독감 사전-사후 차이 검증을 위해 대응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그리고 실험집단 내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고독감 사전-사후 점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노래 중심 음악 활동이 독거노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고독감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친숙한 노래를 사용한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해 독거노인에게 안전한 환경과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여 독거노인의 전반적인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룹 활동은 독거노인의 고독감 감소에 큰 도움이 되었으며, 매 회기마다 보인 대상자들의 반응을 통해 음악치료 의 즉각적인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설계 및 절차
4. 노래 중심 음악 활동
5.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사전 동질성 검증
2. 연구 가설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