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온라인투표의 신뢰 메커니즘에 대한 고찰 : 온라인투표 보안기술 및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ust Mechanism of Online Voting : Based on the Security Technologies and Current Status of Online Voting Systems

심선영, 동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how the online voting system can be a trust-based system from a technical perspective. Under four principles of voting, we finely evaluate the existing belief that offline voting is safer and more reliable than online voting based on procedural processes, technical principles.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e ideas for implementing online voting system, but they have not attempted to strictly examine the technologies of online voting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voting requirements, and usually verification has been insufficient in terms of practical accept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technologies are utilized to meet the demanding requirements of voting based on the technologies proven in the field. In addition to general data encryption, online voting requires more technologies for preventing data manipulation and verifying voting results. Moreover, high degree of confidentiality is required because voting data should not be exposed not only to outsiders but also to managers or the system itself. To this end, the security techniques such as Blind Signature, Bit Delegation and Key Division are used. In the case of blockchain-based voting, Mixnet and Zero-Knowledge Proof are required to ensure anonymity.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online voting system is analyzed based on the field system that actually serves. This study will enhance our understanding on online voting security technologies and contribute to build a more trust-based voting mechanism.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투표의 본질적 속성인 4대 원칙을 기반으로 온라인투표시스템이 어떻게 신뢰를 구현할 수 있는지 기술적 관점에서 조망해 본다. 이는 오프라인투표가 온라인투표보다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다는 기존의 믿음을 투표 절차와 기술적 원리를 기반으로 정교하게 평가해 보려는 것이다. 많은 연구들이 온라인투표시스템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해왔지만 투표의 요구조건 관점에서 절차적으로 엄밀히 따져보지 않았고 또 현실적 수용의 측면에서 검증이 미진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투표시스템이 어떻게 투표라는 과정의 엄격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지 현업에서 검증된 기술을 중심으로 분석해본다. 일반적 데이터 보안에 더하여 온라인투표는 데이터 위․변조 및 부정행위 방지와 검증을 위한 기술이 더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외부자는 물론이고 관리자 및 시스템 자체에게도 투표데이터가 노출되면 안 되는 고도의 기밀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은닉서명, 비트위임, 키분할 등을 활용하며 블록체인 기반 투표일 경우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믹스넷과 영지식증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으로 설명되고 있는 보안기술들을 실제 서비스하고 있는 현업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고찰해봄으로써 온라인투표시스템의 현황을 진단한다. 이러한 시도는 온라인투표 보안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온라인투표의 적용 확장성을 조망하여 보다 신뢰 기반 투표 메커니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배경 이론 및 선행 연구
2.1 선거의 4대 원칙
2.2 온라인투표 보안기술
2.3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투표
Ⅲ. 연구 내용
3.1 온라인투표 요구조건 분석
3.2 온라인투표시스템 기술 분석
3.3 온라인투표 서비스 현황 진단
Ⅳ. 결론
4.1 연구의 학술적 의의
4.2 연구의 관리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심선영 Seonyoung Shim. 성신여자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동상호 Sangho Dong. 한국전자투표㈜ 연구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