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형태에 관한 요인 연구 - 회복탄력성 개념의 적용 -

원문정보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Return to Work among Injured Workers - Applying the Concept of Resilience -

김민규, 정지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ield of occupational safety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accident prevention, but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resilience has been emphasized, with a focus on the recovery process after an accident. The smooth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i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of resilience in occupational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occupational safety by identifying the forms of occupational recovery of injured workers in detail and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Data from the first year (2018) to the fourth year (2021) of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were used, and 2,653 respondents from all four years were analyz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ata 16.0 program. Chi-square analysis was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in the form of return to work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The results showed that regular workers had a higher rate of returning to their original job and a lower rate of reemployment and non-employment compared to non-regular workers. Mixe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demographic, social psychological, and accident site factors that influence return to work and reemploy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returning to work and reemployment. On the other hand, accidents workplace factors were only significant for return to work. Based on these results, we identified the vulnerabilities of the injured worker population when it comes to returning to work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a smooth return to work.

한국어

산업안전 분야는 사고 예방 위주의 전략을 취해왔지만, 근래에는 사고 이후의 회복과정에 집중하는 회복력의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 산재근로자의 원활한 직업복귀는 산업안전 회복력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형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원활한 직업복귀, 나아가 산업안전의 회복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다. 산재보험패널조사의 1차연도(2018년)부터 4차연도(2021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4개년 모두 응답한 2,653 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Stata 16.0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했다. 카이제곱 분석을 통해 정규직 과 비정규직간 직업복귀 형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정규직 산재근로자 집단은 비정규직 산재근로 자 집단과 비교하여 원직장 복귀율이 높았으며, 재취업과 미취업 비율이 낮았다. 혼합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원직장 복귀와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사회심리학적, 재해사업장 요인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사회심리학적 요인은 원직장 복귀와 재취업 확률을 높이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재해사 업장 요인은 원직장 복귀 시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 집단의 직업복귀에 대한 취약성을 도출하고 원활한 직업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산업재해와 회복탄력성
2.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와 취약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측정변수
3.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산재근로자의 일반적 특성(4차 기준, n=2,643)
2. 종사상 지위에 따른 심리적 변화와 직업복귀
3. 직업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함의 및 결론
알리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규 Min-Kyu Kim. Department of Urba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50, UNIST-gil, Ulsan, 44919, Korea.
  • 정지범 Ji-Bum Chung. Department of Urba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50, UNIST-gil, Ulsan, 44919,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