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中国设计学科的发展趋势研究 – 基于2001-2023年CNKI硕士学位论文数据库分析 –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Development Trends of Chinese Design Discipline - Based on Analysis of CNKI Master's Thesis Database from 2001 to 2023 -

중국 디자인 학문의 발전 추세 연구 - 2001-2023년 CNKI 석사 논문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기반으로 -

李小云, 刘君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trends of the design discipline in China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NKI master's thesis database from 2001 to 2023. The research reveals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design master's theses in various types of Chinese universitie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national policies on research.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elected topics of design master's theses reflect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the discipline, with phases of expansion and stable development. Different types of universities focus on different research directions, with comprehensive universities and science-technologyoriented institutions emphasizing applied design, while art institutions prioritize artistic creation. The study also highlights how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impact research topic selection for design master's theses, particularly in areas such as cultural creative design and regional revitalization. Additionally, it observes a trend towards collaborative development within disciplinary clusters rather than single disciplines. The "Four New" initiatives (new engineering disciplines, new humanities disciplines, new medical disciplines, and new agricultural sciences) are mentioned for their influence on the field. Ultimate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China's design discipline needs to transcend traditional paradigms rooted in fine arts education and enhance its capacity for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to adapt to societal changes and meet national policy requirements. The insights and recommendations provided by this study serve as valuable reference material for related fields and policy-making.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의 디자인 학문의 발전추세를 조사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23년까지 CNKI(중국 지식 네트워크) 석사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 한 유형의 중국 대학에서 디자인 학문의 주요 발전 특징과 추세를 밝혀냈다. 연구 방향 은 국가 정책과 영향력에 크게 의존하며, 종합 대학과 공대계 대학은 응용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고 예술 계열 대학은 예술 창작 속성을 강조한다. 또한 국가 개발 전략은 문화 창조적 디자인 및 지역 활성화와 같은 분야에서 석사 논문 주제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단일 전공에서 전공 집단 공동 발전으로 변화하는 등 학문 발전의 추세도 확인하였다. “Four New” 이니셔티브(신공학, 신인문학, 신의료, 신농업)가 디자 인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언급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국의 디자인 학 문이 예술 교육 패러다임에서 벗어나고 사회 상황 변화와 국가 정책 요구 사항에 적응 하기 위해 경계를 넘어서는 통합 개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결과 들은 중국 디자인 학문의 미래 발전에 대한 깊은 통찰력과 유용한 제언으로 다른 관련 분야와 정책 결정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중국어

本研究对中国知网收录的2001年至2023年期间的设计学硕士学位论文进行了全面分 析, 以揭示中国不同类型高校设计学硕士论文的主要研究特点和变化趋势, 以及国家政策 对研究的影响和趋势. 研究结果表明, 设计学硕士论文的选题反映了设计学科的发展历程, 包括规模扩张和稳定发展阶段. 不同类型院校的选题方向主要受其学科定位、发展意识和 办学条件的影响, 特别是综合类和理工类院校更侧重于应用型设计, 而艺术类院校则强调 艺术创作属性. 此外, 国家发展战略也成为了影响设计学硕士论文选题的重要因素, 特别是 关于文化创意设计和乡村振兴等领域的研究. 研究还指出了学科发展的趋势, 包括从单一 专业到专业群协同发展以及新工科、新文科、新医科、新农科等“四新”建设对设计学科 的影响. 最终, 研究强调了中国设计学科的发展仍需摆脱美术教育学科范式, 提高跨界融合 发展能力, 以适应新的发展机遇和国家政策要求. 本研究为中国设计学科的未来发展提供了深刻的洞察和有益的建议, 同时也为设计学科相关领域的研究和政策制定提供了重要的参考.

목차

Ⅰ. 引言
Ⅱ. 文献综述
Ⅲ. 研究设计
Ⅳ. 结果分析
Ⅴ. 研究总结
参考文献
국문초록
中文摘要
Abstract

저자정보

  • 李小云 이소운. 安养大学教育学科,博士生
  • 刘君 류군. 安养大学教育学科,助教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