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FVI를 활용한 서울시 개별 반지하 주택의 침수 취약성 분석 및 대응 방안 : 물리적 취약성과 사회적 대응력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of Individual Semi-Basement Houses in Seoul : Focusing on Physical Vulnerability and Social Resilience

한소라, 임재권, 이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ncreasing intensity of rainfall due to global warming is increasing the vulnerability of people living in semi-basement houses to urban flooding. To address this issu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announced a policy to assist in relocating underground residents to the ground floor. However, to effectively mitigate the flood risk of semi-basement houses and facilitate the relocation process, adopting a proactive approach that reflects various urban spatial factors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flood risk of individual semi-basement houses in Seoul by analyzing the physical environment, population, and socio-economic factors. This study will also suggest flood risk mitigation measures based on a detailed index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of all semi-basement houses in Seoul shows that the flood-vulnerable semi-basement houses are significantly concentrated in Dobong-gu and Eunpyeong-gu. Moreover, the analysis of the flood-prone areas in Dobong-gu and Eunpyeong-gu using the detailed indicators shows that Dobong-gu has a relatively high Exposure Index and Physical Vulnerability Index value. In contrast, Eunpyeong-gu has a relatively low Social Resilience Index. Therefore, Dobong-gu should prioritize reducing physical vulnerability and flooding exposure, while Eunpyeong-gu should focus on improving social resilience. This study contributes by analyzing flood vulnerability at the level of individual semi-basement houses, reflecting their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help local governments develop flood risk reduction policies based on the evaluation characteristics of semi-basement housing.

한국어

극한 강우로 인한 반지하 거주 기후 위기 취약계층의 재산 및 인명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반지하 주택의 침수위험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반지하 거주민의 지상층 이주와 함께 다양한 도시 공간적 요소를 반영한 선제적 대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물리적 환경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개별 반지하 주택의 침수 취약성 지표를 평가하고, 세부 지표를 분석하여 침수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대응책을 제안함으로써 반지하 주택의 침수 피해를 완화하고 효율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 전체 개별 반지하 건축물을 분석단위로 설정하여, 재해 노출 지수, 물리적 취약성 지수, 사회적 대응력 지수의 세 가지 취약 지표 및 통합적 반지하 침수 취약성 분석을 건축물별로 분석하였다. 1차 단계 분석으로 반지하 주택별 재해 노출 지수, 물리적 취약성 지수, 사회적 대응력 지수의 종합적인 산정을 통한 침수 취약도 산출, 2차 단계 분석으로 침수 취약성이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판단된 도봉구와 은평구를 대상으로 더욱 세밀한 지표별 취약 지역 분석과 도시 계획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반지하 개별 건축물을 단위로 침수 취약성을 분석함으로써 반지하 주택들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들은 주로 배수 분구나 행정구역을 분석단위로 홍수 취약성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반지하 주택의 침수 취약성을 분석하는데 있어 배수 분구나 행정구역과 같은 거시적 단위는 반지하 주택과 기후 위기 취약계층 거주환경의 특수한 특성을 면밀하게 반영할 수 없어 효과적인 홍수 취약성 완화 정책을 제시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개별 건축물을 분석단위로 사용함으로써 반지하 주택의 침수 취약성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한 부분을 보완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침수 취약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 행정구에 세밀한 대응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각 지자체가 향후 홍수 대응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취약성 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분석
2.1. 침수 취약성 분석에 관한 연구
2.2. 기후 위기 취약계층의 적응 능력에 관한 연구
2.3. 연구의 차별성
3. 연구방법
3.1. 분석변수 및 자료
3.2. 자료 분석 방법
4. 연구결과
4.1. 서울시 반지하 침수 취약성 분석
4.2. 침수 취약 행정구 분석
5.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소라 Han, So Ra.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Department of City and Regional Planning
  • 임재권 Lim, Jae Kwon. 단국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부
  • 이혜경 Lee, Hye Kyung. 단국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