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 인지 감수성 개념 영역 제안 및 교사들의 성 인지 감수성 조사

원문정보

Suggestion of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Gender Sensitivity and Survey of K-12 Teachers’ Conceptions

소연희, 이영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clusiv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gender sensitivity from the literature review for the past 20 years based on its importance in educational field and then to implement the survey for the conceptions of K-12 teachers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develop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66 teachers and the reliability was more than 0.8 Cronbach α for the instrument.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As the results, firs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gender sensitivity was consisted of three domains such as cognitive, environmental, and willful domains from the intensive literature review, which it will be utilized for the survey of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gender sensitivity as a conceptual framework. Second, the average level of the teachers’ conceptions for the gender sensitivity was relatively high(3.99) for all domains. Specifically, while the cognitive domain was highest level(4.21), the environmental domain was lowest level(3.68) among the three domains. Third, while the results of the conceptions of K-12 teachers for the gender sensi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background information such as sex, ages, and school types(p<.01), the results of survey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regardless whether the teachers take the program related with gender sensitivity. Also,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한국어

본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의 ‘성 인지 감수성’ 의 중요성에 기반하여 성 인지 감수성에 대한 다양한 개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주요 개념 영역을 도출하고 이를 바 탕으로 교사들의 성 인지 감수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난 20여 년간 진 행된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사회문화적 배경을 반영하는 포괄적인 ‘성 인지 감수 성’에 대한 개념 영역을 3가지로 제안하고, 이를 연구의 개념적 틀(conceptual framework)로 설문 도구를 구성하여 초·중·고 교사들의 성 인지 감수성 인식 수준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는 전국 초·중·고 교사 총 166명이 참여하였다. 설문 도구의 신 뢰도는 분석 영역별 Cronbach α 값 0.8 이상이었으며 분석 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활 용하여 빈도분석 및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 를 분석하여 제안된 ‘성 인지 감수성’ 3가지 영역은 인지적, 환경적, 의지적 영역으로 제 시되었으며, 이 개념적 영역은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성 인지 감수성 개념을 포 괄적으로 반영하여 분석의 개념적 틀로 활용 가능하였다. 둘째, 초·중·고 교사들의 성 인지 감수성 평균값은 비교적 높은 수준(3.99)이었으며 3가지 영역에서는 인지적 수준 이 가장 높았으며(4.21), 환경적 영역 인식 수준이 가장 낮았다(3.68). 셋째, 초·중·고 교사들의 성 인지 감수성은 성별, 연령대별, 그리고 학교급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p<.01), 관련 강좌 수강 여부에 따라서는 인식 수준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성 인지 감수성 개념의 배경 및 교육적 현황‘
2. 성 인지 감수성 개념
Ⅲ. 연구 방법
1. 성 인지 감수성의 3가지 영역 제안
2. 현장교사의 성 인지 감수성 조사 방법
Ⅳ. 연구 결과
1. 초·중·고 교사들의 영역별 성 인지 감수성 결과
2. 초·중·고 교사들의 배경 요인에 따른 성 인지 감수성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소연희 So, Yeon Hee.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생
  • 이영희 Lee, Young Hee.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