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Brave Lives of Sexually Marginalized Youths in South Korea : Life History Research on Their Resilienc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to understand how resilience occurs among young adolescents in sexual minority positions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question has not been seriously discussed in Korean LGBT studies. To answer the question is meaningful in improving mental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young students in LGBT categories. For this purpose, sev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chosen through purposeful sampling. Life history interviewing and analysis were used as major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hree major features of resilience were identified as a new way to explain how those group of people have developed such psychological and social strength in South Korea. The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young people develop their sense and power of resilience through ‘experiencing various challenges and stresses’. Research participants interpret various kinds of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toward their lives as a way to develop power of resilience. Second, participants have positive perspective on their identity, social life and their future. They own strong self-esteem, desire for social connection and expectation for the hopeful future, and use them for future successful adults in South Korea. Third, social support and resources are needed in increasing and empowering their ability of resilience. For this purpose, educational materials and resources need to be developed and taught for those you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한국어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자신들의 전반적인 성장과 발달의 과정에서 겪 는 도전과 스트레스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극복하는지 강점을 발견하고, 이들이 가진 탄력성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생애사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목적표집을 통해 7명의 청소년 성소수자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생애사 면담을 통한 자료 수집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들은 성장과 발달과정에서 다양한 ‘도전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 주제의 내용으로는 ‘편견과 차별, 폭력의 경험’, ‘성적 지향과 정체성의 은 폐’, ‘정서적·사회적 고립과 우울’ 등이다. 둘째, 도전과 위협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그 들은 ‘긍정적으로 적응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이 있었다. 이 주제의 내용으로는 ‘자신에 대한 긍정과 자존감’, ‘사회적 관계에 대한 열망’,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 등이다. 셋 째, 그들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어떤 ‘강점 기반의 개입과 지원’이 필요한지를 사회적 환경 차원에서 밝혔다. 이를 위해 “대인관계 자원”과 “제도적 자원”의 차원에서 그 구체적인 내용을 개념화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청소년 성소수자의 연구 동향
Ⅲ. 연구방법
1. 생애사 연구 방법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5.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Ⅳ. 연구결과
1. 도전과 스트레스 경험
2. 긍정적으로 적응하고 발전시키는 능력
3. 강점 기반의 개입과 지원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