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온라인 실시간 양방향 연극교육/교육연극에서 신체화(몸을 통한 구현)의 활성화를 위한 수업모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odel for Embodied (Implementation through the Body) Revitalization through Online Real-time Interactiv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구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vised and analyzed a teaching model to find out the physical activity and its activation potential of learners in online interactiv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classes. As a research method, theoretical foundations were prepar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structional model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earners were interpreted. Zoom was used as an online two-way teaching platform and was conducted from 2020 to 2021. Activation of physicalization in online interactiv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was mainly possible through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and movement interaction of the body in front of the camera. Such physicalization, like the theory of neuroaesthetics, creates a feeling of empathy through stimulation of the brain's nerves by aesthetic experience. When designing a learner-centered class with experience-based P.B.L. (Problem Based Learning) learning in detail to have a plot (story structure) even when teaching online, it was confirmed that the body was activated in th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class. During the class through online two-way real-time interaction, learners were able to activate their bodies and dynamically learn class goals and topics. Online interactiv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clas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ve communication through physical activation and empathy in a social situation where non-face-to-face classes are inevitab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pread various types of online interactive class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practical and academic dimensions of online interactive theater education/educational drama.

한국어

이 연구는 온라인 양방향 연극교육/교육연극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신체활동과 그 활성화 가능성을 알아 보기 위해 수업모델을 구안하고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수업 모델을 설계·개발하여 적용한 후 학습자들의 심층 인터뷰를 종합하여 해석하였다. 온라인 양방향 수업 플랫폼으로는 Zoom을 활용하였고, 2020년 ~ 2021년 동안 실시하였다. 온라인 양방향 연극교육/ 교육연극에서 신체화의 활성화는 주로 시각과 청각의 자극 및 카메라 앞 몸의 움직임에 의한 상호작용 을 통해 가능하였다. 이러한 신체화는 신경미학의 이론과 맥락을 같이하며 미적 체험이 뇌 신경의 자극 을 통해 공감의 정서를 일으킨다. 온라인으로 수업을 하더라도 플롯(이야기 구조)을 지니도록 세밀하게, 경험중심 P.B.L(Problem Based Learning)학습에 의해 학습자 중심 참여 수업으로 설계하였을 때, 연극 교육/교육연극 수업에서 신체화 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면 수업의 차선책으로 온라인 양방향 실 시간 상호작용에 의해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학습자는 신체화 활성화와 수업목표·주제를 역동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가능했다. 온라인 양방향 연극교육/교육연극 수업은 비대면 수업이 불가피한 사회적 상 황에서 신체화 활성화 및 공감을 통한 협력적 소통의 측면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므로 다양한 방식의 온 라인 양방향 수업의 개발과 확산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연극의 신체성과 온라인 양방향 교육
1. 연극의 신체성과 거울뉴런(Mirror Neuron)
2. P.B.L(Problem-Based Learning;P.B.L.)과 질성적 사고
Ⅲ. 온라인 양방향 실시간 수업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1. 참여자에 적합한 온라인 양방향 실시간 수업 프로그램 설계
2. 온라인 양방향 연극교육/교육연극 개발과 적용
Ⅳ. 온라인 양방향 연극교육/교육연극 수업프로그램의 신체성 활성화 분석
1. 온라인 양방향 실시간 수업프로그램의 특성 관찰
2. 온라인 양방향 수업에서 ‘신체화 ’의 가능성 : 몸짓, 시각화, 발화에 의한 청각적자극과 신호의 상징성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민정 Ku, Min Jung.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