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연극을 활용한 보건교사의 소진관리 프로그램 개발 적용 및 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A Drama Education Program for Health Teachers’ Burnout Management

강경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burnout management program using drama education and apply it to health teachers to determine how much job burnout is resolved, focusing o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and a total of 12 health teach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mong teachers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composed of health teacher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ace-to-face due to the relaxation of the COVID-19 quarantine stage, and was held twice a week from October 5 to October 21, 2022, for a total of six days. The method of the study was a case study, which was reinforc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data collection through quantitative testing (job burnout,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scale tests, pre-post tests for each session,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mplemen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o reduce job burnout, social support, and enhance resilience for a limited number of health teachers, but it is meaningful that it drew significant results for health teachers who suffered at the forefront of COVID-19 quarantine work at the school site to reduce job burnout and improve resilience.

한국어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소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건교사에게 적용하여 사회적지지 및 회 복탄력성을 중심으로 직무소진이 어느 정도 해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본추출(purposeful sampling)을 통해 선정되었으며, 보건교사로 구성 된 단체에 소속된 교사 중 총 12명의 보건교사가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프로그램 실행은 코로나19(COVID-19) 방역단계의 완화로 직접 대면하여 프로그램 진행되었으며, 2022년 10월 5일부터 10월 21일까지 주 2회 총 6일 간 진행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연구로서 정량적 검사(직무소진,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를 통한 자료수집을 기본으로 하여 정성적 분석을 통해 보강한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 보완을 위해 척도검사 및 회기별 사전-사후 검사, 개별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한적인 인원의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소진 경감,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지만, 학교현장에서 코로나19 방역업무의 최일선에서 고생한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소진경감과 회복탄력성 증진에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소진관리 및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2. 교육연극
Ⅲ. 연구 방법
1. 연구자 및 연구 참여자
2. 사례연구
3. 정량적 검사 도구
4. 신뢰도 검증
5. 연구절차
6. 정성적 자료 수집
7. 자료 분석 및 분석 방법
Ⅳ. 교육연극을 활용한 소진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1. 프로그램 설계 과정
2. 교육연극을 활용한 소진관리프로그램 설계
3. 교육연극을 활용한 소진관리프로그램 적용
Ⅴ. 연구 결과
1. 정량적 연구결과
2. 정성적 연구결과
3. 연구결과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경민 Kang, Kyung Min.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