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병리적 애도에 관한 기독교 상담의 원리

원문정보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for Pathological Grief

반신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umber of people in bereavement has grown rapidly after the Covid-19 pandemic. As a result, the pathological grief has increased, too. To understand its features, it is helpful to examine the normal process of grief. There appear denial, yearning, anger, depression, and acceptance, which proceed and change over time naturally. There appears the task adapting to the world with the dead person and finding how to remember the person. It is also necessary to include both confrontation and avoidance in processing and resolving the distress of loss. There is the distress of separation at the core of the pathological grief. It is accompanied by disruptions in the everyday life by the difficulties of thinking, emotion regulation, and actions. Its causes include the griever’s insecure attachment and conditions of situation around the death. The latter is composed of the unexpected death in the childhood, adolescence, or young adulthood, tragic death, and disenfranchised death. To help the griever recover from the pathological grief, the Complicated Grief Therapy aims to resolve the grief complications and to facilitate natural proceeding of the normal process of grief. Its process includes both loss-oriented and restoration-oriented activities, both confrontation and avoidance, and works for the positive emotion. Its major techniques include normalization, exposure therapy, and goal works. Four principles of the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pathological grief, are proposed. First, there are the Christian beliefs to facilitate the positive coping. They help the griever to prevent and weaken the pathological grief. Second, in love, the griever can get the companionship with sense of safety and support. It facilitates resolving the pathological grief. Third, its core technique is forgiveness. Last, in hope, the griever can find personal values and aspirations and envision the future.

한국어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 감염병 비상사태 이후 사별이 증가했다. 사별로 인한 병 리적 애도도 증가했다. 우선, 정상적 애도의 과정을 살펴보면, 부인, 갈망, 분노, 우울, 및 수용과 같은 반응이 나타나고, 이 반응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연스럽게 진행되 며 변화한다. 그리고 죽은 사람이 없는 세상에 적응하고, 그 사람을 기억하는 방법을 찾는 과업도 있다. 사별의 고통을 처리하고 회복하는 과정에, 직면과 회피의 활동이 둘 다 필요하다. 특히, 후자는 긍정적 감정을 촉진한다. 병리적 애도의 핵심에 사별로 인한 분리의 고통이 있다. 그리고 인지, 정서조절, 및 행동에서 자주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어려움을 겪는다. 그리고 병리적 애도의 원 인은 불안정 애착과 사별의 상황적 특성이다. 너무 어린 죽음이거나 잔혹한 죽음이거 나 천대받는 죽음과 관련된 사별의 경우, 병리적 애도의 위험성은 증가한다. 병리적 애도에 대해, ‘복합성 애도 치료’는 애도 복합증을 해소하고 자연스러운 애 도 과정의 진행을 촉진한다. 그리고 상담 과정에 상실지향 활동 및 회복지향 활동, 직 면과 회피, 그리고 긍정적 감정의 촉진을 함께 포함한다. 그리고 정상화, 노출치료, 및 목표작업을 주요 기법으로 사용한다. 병리적 애도에 대한 기독교 상담의 원리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긍정적 대 처를 촉진하는 믿음은 병리적 애도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킨다. 둘째, 안전과 지지를 촉 진하는 수평적 상호작용의 사랑도 병리적 애도에서 회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셋째, 병리적 애도에서 회복하도록 돕는 가장 중요한 기법은 용서다. 넷째, 개인적 가 치와 열망을 새롭게 찾고 미래를 계획하도록 돕는 소망도 병리적 애도에서 회복하도록 돕는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정상적 애도의 과정
III. 병리적 애도의 현상과 원인
III. 병리적 애도의 상담: 복합성 애도 치료(ComplicatedGrief Therapy)
IV. 나가는 말: 병리적 애도에 관한 기독교 상담의 원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반신환 Pan, Shin-Hwan. 한남대학교 교수/ 실천신학 / 기독교상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