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신학과 아시아 신학의 불이론적 창조론 방향 모색

원문정보

The Study on Non-dualistic Creationism in Korean and Asian theology

이찬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seeks to find a direction for ‘non-dualistic creationism’ as a creationism theory in Korean and Asian theology. This paper is the second follow-up study, and in the first study, the theory of non-dualism religions in Korea and Asia was studied. Based on the first study,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of creationism in Korean and Asian theology by examining important theological discourses on creationism develop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However, strictly speaking,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world in creationism. In the first study, Shankara of Indian Hinduism and Wonhyo of Korean Buddhism were examined. Because Shankara considered this world to be the manifestation of Brahman, I defined his non-dualism as ‘monistic non-dualism’, Because Wonhyo denies the absolute, I defined his non-dualism as atheistic non-dualism. Furthermore, I defined the non-dualism for Korean theology and Asian theology as an inter-living non-dualism.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redemption in Old Testament focusing on Von Rad and Knirim. Irenaeus' creationism breaks through the dualistic creationism of Gnosticism by asserting the uniqueness of God, creation from nothing, and creation under God's free sovereignty, in opposition to Gnostic creationism based on a dualistic worldview. Augustine's creationism counters Plotinus' monistic theory of emanation and establishes Christian creationism. Augustine breaks through Plotinus' monistic creationism with creation based on God's voluntary love, creation from nothing. This article proposes three directions for creationism in Korean and Asian theology. First, creation and salvation should not be separated, but should be viewed as a inter-living relationship. Second, we must overcome dualistic creationism, like Irenaeus's creationism. Third, we must overcome creationism based on a monistic worldview, such as Augustine's creationism.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 신학과 아시아 신학의 ‘불이론적 창조론’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려 고 한다. 본 논문은 후속 연구로 두 번째 연구이고, 논자는 첫 번째 연구에서 한국과 아시아 종교의 불이론을 고찰하면서 그리스도교적 불이론으로 ‘상생적 불이론’을 구성 하였다. 본 연구는 첫 번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전개된 중요 한 창조론에 관한 신학적 담론을 고찰하고 한국 신학과 아시아 신학의 창조론 방향을 모색한다. 그러나 엄밀하게 본 논문은 창조론에서 하나님과 세계의 관계에 집중한다. 첫 번째 연구에서 아시아 불이론으로 인도 힌두교의 샹카라와 한국 불교의 원효를 고찰하였다. 샹카라는 이 세계를 ‘브라만의 가현’으로 간주함으로 ‘일원론적 불이론’으 로, 원효는 절대자를 부정함으로 ‘무원론적 불이론’으로 규정하였다. 더 나아가서 한국 신학과 아시아 신학을 위한 불이론을 ‘상생적 불이론’으로 규정하였다. 본 논문은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상생적 불이론의 근거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약 신 학 안에서 창조와 구속의 관계, 이레니우스의 창조론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창조론을 고찰한다. 구약 신학에서 폰라드는 창조를 구속에 종속시킨다. 그러나 크니림은 구약 성서에서 ‘신학의 복수성’을 읽어내고, 역사를 창조의 산물로 보면서 창조와 구원을 불이적 관계로 설명한다. 이레니우스의 창조론은 이원론적 세계관에 근거한 영지주의 적 창조론에 대항하여 하나님의 유일성, 무로부터의 창조, 하나님의 자유로운 주권의 창조를 주장하면서 영지주의의 이원론적 창조론을 돌파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창조 론은 플로티누스의 일원론적 유출설에 대항하면서 그리스도교적 창조론을 세운다. 그 는 필연성에 의한 창조가 아니라 하나님의 자발적인 사랑에 근거한 창조, 무로부터 ‘무형의 질료’의 창조, ‘무형의 질료’에 형상을 부여한 창조 등으로 플로티누스의 일원 론적 창조론을 돌파한다. 본 논문은 한국 신학과 아시아 신학의 불이론적 창조론의 방향으로 세 가지를 제 안한다. 첫 번째로, 창조와 구원을 분리하지 않고, 불이적 관계로 보아야 한다. 둘째로, 이레니우스의 창조론과 같이 이원론적 창조론을 극복해야 한다. 셋째로, 아우구스티누 스의 창조론과 같이 일원론적 세계관에 근거한 창조론을 극복해야 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샹카라(Shankara)와 원효(元曉)의 불이론(不二論)을넘어서: 상생적 불이론
III. 구약 신학에서 창조와 구원의 관계
IV. 이레니우스(Ireneus of Lyons)의 창조론: 이원론적 창조론의 극복
V.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의 창조론-일원론적 창조론의 극복
VI. 한국 신학과 아시아 신학의 불이(不二)적 창조론의방향 모색
1 창조와 구원의 통전-창조와 구원의 불이적(不二的) 관점
2 이원론적 세계관의 돌파-이레니우스의 창조론을 중심으로
3 일원론적 세계관의 돌파-아우구스티누스의 창조론을 중심으로
V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찬석 Lee, Chan-Seok. 협성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구성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