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상파방송 기자들의 탐사보도 통제요인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영향력 위계모형에 따른 미디어 내・외부 통제요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Ground-wave Broadcasting Journalists' Perception of Control Factors on Investigative Journalism : Analysis of Media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Factors according to Hierarchy of Influence Model

양만희, 이민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ind out national ground-wave broadcasting journalists' perception of control factors on investigative journalism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Using the hierarchy of influence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percep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factors of the media was analyzed. First, in order to check the perception of 'media reporting control factors', the results of the 'Journalists' Consciousnes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Promotion Foundation were secondarily analyzed. Ground-wave broadcasting journalists chose 'government or political circles' a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factors even during the Moon administration when the press freedom index got better. Second, to check the performance of investigative journalism during this period, the lists of 'Reporter of the Month Award' was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ith ground-wave broadcasters were don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d interviews, it was found out that investigative journalism performance deviated from the traditional objects and themes of the journalism, namely 'exposure of huge power' and did not meet expectations. Third, we analyzed the perception of control factors interaction that affected the withering of investigative journalism. In the interviews with public KBS and MBC broadcasters, their perceptions were revealed that the political parallelism or clientelism between political power and company leadership established after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was invisible, but journalists' internalization or self-censorship may have worked. In the interviews with private SBS broadcasters, they revealed their perceptions that strong opposition from the ruling party lawmaker and the company's actions to reduce its investigative journalism capabilities may have worked as control factor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mean that the task of overcoming the political parallelism and clientelism in Korean broadcasting media is different under different regimes, but still exist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 시기 ‘탐사보도 통제요인’에 관한 지상파방송 기자들 의 인식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향력 위계모형을 이론적 틀로 삼아, 미디어 내・외부 통제요인 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먼저 ‘언론 보도 통제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수행하는 <언론인 의식조사> 결과를 2 차 분석하였다. 지상파 3사 기자들은 언론자유지수 순위가 상승한 문재인 정부 시기에 도 ‘정부나 정치권’을 1, 2위 통제요인으로 지목했다. 이 시기 탐사보도의 성과를 ‘이달 의 기자상’ 수상 실적을 통해 분석하고 지상파방송 기자들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그 결 과, 탐사보도는 ‘거대 권력 폭로’라는 전통적 탐사보도의 대상과 주제에서 벗어났고 기 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인식을 발견하였다. 이런 탐사보도 위축에 미친 통제요 인 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공영방송인 KBS와 MBC에서는 2017년 대선 이후 등장한 사내 리더십과 정치권력의 정치병행성 내지 후견 주의가 가시적이지 않았지만, 기자들의 내재화나 자기검열이 작동했을 수 있다는 인식 이 나타났다. 민영방송 SBS에서는 당시 여당 의원이었던 탐사보도 대상의 강한 반발과 이에 영향받은 것으로 보이는 회사의 탐사보도 역량 축소 조치가 탐사보도에 통제요인 으로 작용했다는 인식이 드러났다. 이런 분석 결과, 한국 방송언론의 정치병행성과 후견주의 극복이라는 과제는 서로 다른 정권 아래서, 양상을 달리하지만 상존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목차

요약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1) 영향력 위계모형
2) 내재화와 자기검열
3) 정치병행성과 후견주의
3. 정권 시기별 통제요인 인식과 탐사보도 성과
1) 정권 시기별 ‘언론 보도 통제요인’ 인식
2) 지상파 3사 탐사보도 수상작 성과 분석
4.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1) 연구 문제
2)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1) 문재인 정부 시기 탐사보도 성과에 대한 인식
2) 문재인 정부 시기 탐사보도 통제요인에 대한 인식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만희 Manhee Yang.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수료
  • 이민규 Min-Kyu Lee.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