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난 이슈에 관한 프레임 현저성(salience) 변화와 상호관계성 : 세월호 침몰사고 뉴스에 나타난 시공간, 속성, 그리고 책임 주체 프레임 분석

원문정보

Frame Salience Changes and Interrelationships on Disaster Issues : An Analysis of Time & Space, Attributes, and Responsibility Frames in News of the Sewol Ferry Sinking

이완수, 배재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edia composes the frames in the report of the Sewol ferry sinking accident occurred on April 16, 2014 and how these frames change significantly during the course of the accident by applying the concept of ‘frame changing’.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mporally the current frame and spatially the government frame were predominantly used. Second, the responsibility frame was most prominently used in the nature of the accident, and the government frame was consistently emphasized as to the location of responsibility for the accident. Third, the time, space, attributes, and responsibility frame were not fixed or maintained, but constantly changed in the course of events. Fourth,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which have different political ideologies showed differences in frame composition and change overall. We discussed which frame the media remarkably emphasizes when reporting a disaster, what structural features are shown in the frame change, and what differences in frame composition and change are made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the media.

한국어

본 연구는 재난사고 원인과 책임의 관점에서 언론의 보도 프레임 현저성 변화과정을 시공간적으로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프레임 변화(frame changing)’개념을 적용해 2014년 4월 16일 전남 진도 앞바다에서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의 시공간, 속성, 그리고 책임 주체 프레임의 상호 구성 관계를 내용분석을 통해 입 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 관계가 정치적 이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보수신문인 <조선일보>와 진보신문인 <한겨레>에 보도된 관련 기사를 비교 분석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적으로 현재 프레임이, 공 간적으로는 정부 프레임이 가장 현저하게 사용되었다. 둘째, 사고의 속성에서는 책임 프레임이 가장 지배적으로 사용되었고, 사고의 책임 주체와 관련해 정부 프레임이 일관 되게 두드러졌다. 셋째는 시공간, 속성, 그리고 책임 주체 프레임은 고정되거나 유지되 기보다는 사고 진행 과정에 끊임없이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넷째, 정치적 이념이 서 로 다른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전반적으로 프레임 구성과 변화에 특징적 차이를 보 였다. 재난사고에 대한 한국 언론의 프레임 구성체계는 현재 상황을 중심으로, 그리고 정부의 책임론 프레임에 비중을 두었으며, 프레임은 사고 진행 과정에 현재에서 미래로, 개인에서 정부로, 그리고 사회 프레임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사 고 속성은 책임 프레임이 가장 두드러졌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고원인에서 도덕적 평가로, 그리고 문제해결 프레임으로 옮겨가는 특징을 보였다. 언론의 재난 보도는 사 고 진행 과정에 특정 프레임 강조와 변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다르게 구성하고 변주하면 서 사고의 원인과 책임을 규정하다는 사실을 제시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이슈의 사이클과 프레임 구성 변화
2) 재난사고와 언론의 보도 프레임 특성
3) 재난사고에 대한 시공간 프레임 연구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1) 데이터 수집 및 분석방법
2) 분석단위와 측정개념
3) 코더간 일치도
5. 연구결과
1) 세월호 침몰사고 관련 언론사 보도량 추이
2) 시공간 프레임 현저성 특징
3) 속성 프레임 현저성 특징
4) 사고 책임 주체 프레임 현저성의 특징
6. 결론과 함의
1) 결론
2) 함의점
3) 제한점과 향후 연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완수 Wansoo Lee. 동서대학교 미디어콘텐츠대학 교수
  • 배재영 Jaeyoung Bae.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