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subjective perception of doing through the Occupational Self Assess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occupational therapy. This study also examined if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perception in terms of ‘occupational competence’ and ‘values’ about occupational engagement in daily living. Data for 48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ere collected and it involve GPA score and results from the Occupational Self Assessment. A descriptive statistic and SPSS 25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h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PA and ‘occupational competence’, however, a significant quantitative correlation between GPA and ‘values’ was found. That is, this study shows 1)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ir occupational competence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2) but there is likely more chance to have high academic achievement as they have high value on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enhancing undergraduate students’ value on micro-daily occupations may have positive effect on their academic performance, with implying that valuing daily background building occupations can support successful performance of a significant developmental task or fulfillment of major occupational role.
한국어
본 연구는 정신건강전문요원으로 새로이 영입될 작업치료 학생들의 대학생활과 관련하여 그들의 작 업 인식을 조사하고, 작업 유능감과 가치가 학업 수행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 를 위해 작업치료학 전공 학생 48명의 전반적 학업성적과 자기평가형 생활참여척도를 통해 파악된 작 업 인식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SPSS 25에 의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작 업 인식 항목 중 유능감과 학점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가치와 학점 사이에서 는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다. 더불어 하위 척도인 수행, 패턴화, 작업의지 중에서는 수행 가치와 학점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 학생들의 작업적 유능감, 즉 일상 작업을 잘 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학업성취도는 관련이 없음과, 2) 학생들이 수행에 대해 높은 가치를 가질수록, 즉 일상 작업의 수행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결론 적으로, 대학생들의 일상적 생활작업들에 대한 가치를 높이는 것은 그들의 주요 발달과업인 학업의 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일상의 배경이 되어주는 작업들에 대한 가치화가 전경이라 할 수 있는 주요 발달과업 또는 역할작업의 성공적 수행을 지원해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 수집 및 분석
III. 결과
IV.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