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기를 통해 본 지방 사족의 일상생활 - 『홍재일기』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Daily life of local Confucian Scholars through diary - Based on 『Hongjae Diary』 -

임혜영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69호 2023.11 pp.179-20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was in 1866 that Gi Hang-hyun began writing 『Hongjae Diary』, when he was 24 years old. Therefore, his childhood study process is unknown, however it is presumed that he studied at the Seodang in the house or at the nearby the Seodang. The place where he started writing his diary is Yejae. He studied not only in Yejae, but also in Ongjeong Seowon and Chiseongjae. Also participated in a short-term lecture held at a government house. After his father's death, preparations for the state examination seemed to have been stopped. An important obj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 Haeng-hyeon and Jangseong was Ki's relatives living in Gwangju and Jangseong. He moved from Gwangju to Buan for his great-grandfather. But Ki's were not strong enough.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e continued his pride as a group of Scholars through continuous friendship with the Ki clan of Gwangju and Jangseong. In the area, there were more comings and goings with Ye-dong, Dongye, and downtown than with neighboring Songcheon and Baekseok. There were many places outside the area, including Gobu, Gimje, and Sunchang. Among Ki Haeng-hyun's children, two sons and two daughters are married and their marriages were the eldest daughter Tae-in, the second daughter, the eldest son Go-bu, and the second son Kim J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size of farmland owned or the scale of farming with only the articles of 『Hongjae Diary』. It is certain that the income was increased by continuously expanding the post-father's sharecropping land and acquiring and clearing the bottom land.So it seems that I was able to make a living enough to be recognized as a wealthy house around me.

한국어

기행현이 『홍재일기』를 쓰기 시작한 것은 1866년으로 그의 나이 24세였다. 따라서 그의 어린 시절 수학 과정을 알 수 없지만 집안의 서당 또는 주변의 서당에서 수학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일기를 쓰기 시작한 장소가 예재인 것으로 볼 때 예재는 물론이고 옹정서원, 취성재 등으로 다니며 수학했으며 관가에서 여는 단기 강회에도 참여하였다. 한때 암자에 들어가 열심을 내는 것 같기도 했으나 오래가지 못하였다. 부친 사망 후 과거 준비는 중단된 것처럼 보였는데 1887년 떠났던 전주 과행 실패 후 더 이상 과행은 없었다. 기행현의 교유관계에서 중요한 대상은 광주, 장성에 거주하는 기씨 친족이었다. 그의 증조부 대에 광주에서 부안으로 이거해 온 기씨들은 세가 강하지 못했고 부안의 서원에 배향된 인물을 배출하지도 못했다. 그래서 그는 광주ㆍ장성의 기씨 족인과 지속적인 교유를 통해서 사족으로서의 자부심을 이어 갔다고 볼 수 있다. 면내에서는 이웃한 송천, 백석보다 예동, 돈계, 읍내와 왕래가 많았다. 예동에는 처가, 외가가 있었고 해은 김병용 및 그의 아들들과 교류과 많았다. 읍내 거주자 중에는 辛씨가 다수를 차지하는데 대부분 직책이 있는 자들이어서 기행현이 맡았던 직책과 관련이 있었다. 면 외 지역으로는 고부, 김제, 순창이 많았다. 기행현의 자녀 중 혼인에까지 이른 자는 2남 2녀이고 그들의 혼처는 장녀 태인, 차녀 고부, 장남 고부, 차남 김제이다. 혼인이 정해지는 과정에 대한 내용이 없어서 알 수 없으나 손자의 경우 중매인이 와서 혼인을 권하는 것으로 보아 비슷한 과정을 거쳤을 것이다. 『홍재일기』의 기사만으로 소유 농지의 규모나 농사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아버지 사망 후 소작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저전을 매득ㆍ개간하여 소득을 늘려 갔던 것은 확실하다. 그래서 주변에 여유 있는 집안으로 인식될 정도의 살림을 꾸릴 수 있었던 것 같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수학과 과거 응시
Ⅲ. 교유와 혼인관계
Ⅳ. 농사 경영과 경제활동
Ⅴ.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혜영 Lee, Hae-Young. 군산대학교 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