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후기 전라도 蝟島鎭·格浦鎭 설치와 관방체제 변화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Defense 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Widojin and Gyeokpoj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 후기 전라도 위도진·격포진 설치와 관방체제 변화

김철배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69호 2023.11 pp.125-15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King Sukjong's reign, there were many changes in the surveillance system, including the defense of the north,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especially the defense measures for the west coast, after the Imjin War and the Byeongja War. During the same period, Wibongsanseong Fortress was contracted in Jeollabuk-do from 1675 to 1681. And in 1682, Widojingwan(蝟島鎭管) was installed in the coastal area of Buan, and a third official, Cheomsa, was dispatched. And in 1692, Gyeokpojin(格浦鎭), which had the GyeokpoHaenggung(格浦行宮), was promoted to the camp where Cheomsa was dispatched and placed under the jurisdiction of Geomyeong(檢營), changing the defense system of inland and coastal areas. In this paper, as a defense policy in Jeolla-do during the Joseon Dynasty, I tried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installation of Jin in which Chomsa(僉使) is dispatched to the coastal area and how the changes appear. With the establishment of Widojingwan and Geomyeong Gyeokpojin on the west coast of Jeolla-do, Buanjingwan under the Jingwan system in the 3rd year of King Sejo's reign was abolished, and various regions under Buanjingwan's jurisdiction were transferred to Jeonjujingwan. In addi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upseong was built to defend enemies appearing in the coastal area of the West Sea. However, on the contrary, after installing Widodojin and Gyeokpojin, where Cheomsa was appointed, the eupseong was not expanded, but rather tended to be reduced.

한국어

조선 후기 숙종 대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북방 방어 및 하삼도 지역 방어, 서해연해 방어책 등 관방체제에 많은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다. 같은 시기 전라북도 지역에는 1675년(숙종 2)~1681년까지 위봉산성이 수축되었고, 1682년에는 부안 연해에 위도진관(蝟島鎭管)을 설치하고 종3품의 무관 첨사(僉事)를 파견하였으며, 1692년에는 격포행궁(格浦行宮)이 있었던 격포진(格浦鎭)을 첨사진으로 승격하여 검영(檢營) 관할에 두는 등 내륙과 연해의 방어체계에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다. 이런 점에서 조선시대 전라도 관방정책으로서 연해에 첨사진(僉使鎭)의 설치에 따른 원인과 그 변화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라도 서해연안에 위도진관과 검영 격포진의 설치는 세조 3년 진관체제에 의해서 부안진관에 소속되었던 여러 군현은 대부분 전주진관에 이속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조선 전기 연해읍에 출몰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해 축성하였던 읍성은 조선 전기 지속적으로 증축되거나 개축되었던 것과 달리 이 시기를 기점으로 현상 유지를 하거나 계속해서 노후화됨에 따라 규모가 축소되는 경향을 살필 수 있다.

목차

1. 머리말
2. 위도진관(蝟島鎭管) 설치와 서해 방어체제 구축
3. 검영(檢營) 격포진(格浦津)과 격포행궁(格浦行宮) 수호
4. 부안진관 혁파와 서해 연안 읍성의 변화
5.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철배 Kim, Chul-Bae. 문학박사, 임실군청 학예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