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 전기 迎送都監의 운영과 특징

원문정보

Management of Yeongsong-Dogam[迎送都監] in Early Goryeo Period and Its Characteristics

고려 전기 영송도감의 운영과 특징

김규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ecific management condition of Yeongsong-Dogam and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use of Yeongsong-Dogam and activities of its staff as found in materials such as Koryeosa[高麗史], Koryosajoryo[高麗史節要] and epitaphs. In Goryeo dynasty, works of formal offices were not clearly defined, and reflecting this reality, separate organizations were set up when assigned works were too significant to be managed by a single formal office. Dogam was a non-permanent office that was established when an important national affair took place and then shut down once the affair was resolved or came to an end. However, in some cases, Dogam was maintained afterward. According to Baekgwanji[百官志] in Koryeosa, Yeongsong-Dogam was organiz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文宗]. However, Yeongsong-Dogam was probably not set up for the first time then. Considering that the organization of Yeongsong-Dogam was provid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and that its Noksa[錄事] was included in Gweonmugwanlog[權務官祿], which was enacted in the 30th year of King Munjong’s reign, there is a good chance that Yeongsong-Dogam was set up earlier. However, a definite timing is hard to point out. Later Yeongsong-Dogam was merged into Saseon-seo[司膳署] in 1308 or the 34th year of King Chungryol’s reign, then reestablished soon after and maintained. An examination of uses of Yeongsong-Dogam and activities of its staff shows that the organization was mostly in charge of supplying food and beverage to foreign delegations upon their arrival in the city of Gaegyeong, and thus operated as a low-level organization in charge of everyday affairs related to reception of foreign delegations. Its resources came from part of tributes or gongbu[貢賦] paid by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which were stored regularly at Yeong-song-go[迎送庫]. When necessary, staff of Yeongsong-Dogam purchased needed goods. Initially Yeongsong-Dogam was a temporary office set up to be in charge of reception of foreign delegations at GwanSa[館舍]. However, after a diplomatic relation was tied with Khitan[契丹] in the 12th year of King Seongjong[成宗]’s reign, visits from foreign delegations increased sharply and became more regular. In response, Goryeo dynasty increased the number of GwanSa in Gaegyeong and reorganized reception-related offices. During this course, Yeongsong-Dogam became a permanent office. By turning a non-permanent office into a permanent one instead of setting up a new office, Goryeo dynasty could efficiently manage reception of foreign delegations at various GwanSa with small office and staff.

한국어

고려는 정규 관부의 업무가 분장되지 않은 현실을 보완하는 동시에 소관 업무가 어느 하나의 정규 관부에 전임시키지 못할 정도로 비중이 큰 경우 별도의 기구를 설치하였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都監이었다. 도감은 국가에 중대 사안이 발생하면 설치하였다가 그것이 해결 내지는 종료되면 폐지하는 비상설 관부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폐지하지 않고 그대로 존속시키기도 했다. 『고려사』 백관지 제사도감각색에 의하면, 迎送都監은 문종대에 직제가 마련되었다고 전하나, 이때에 처음 설치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영송도감의 직제가 문종대에 마련되었고, 또 문종 30년에 제정된 권무관록에 영송도감의 녹사가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볼 때, 이보다 앞선 시기에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영송도감은 충렬왕 34년(1308)에 사선서에 병합되었다가 얼마지 않아 다시 설치되었으며, 이후로도 존치되었다. 다음으로 영송도감 사례와 여기에 속한 관원들의 활동을 살펴본 결과 영송도감은 외국사절이 개경에 도착한 이후 관사에 체류하는 동안의 지대 즉 식사류 등의 공급을 주로 담당하여 사절 영접의 실무를 담당하는 하위 기관으로써 운영되었다. 이러한 영송도감의 운영에 드는 재원은 지방의 각 군현에서 납입되는 공부 가운데 일부를 迎送庫에 정기적으로 비축하였다가 사용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영송도감의 관원이 직접 물품을 매입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영송도감은 초기 개경 내 관사에서 외국사절에 대한 영접을 맡기기 위한 목적에서 설치한 임시 관부였으나, 성종 12년 이후 거란과의 관계 성립 이래 사절의 내방이 대폭 증가하고 또 정례화됨에 따라 고려는 이에 대응하여 개경 내 관사의 증치 등 영빈 관부를 재정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영송도감의 운영 역시 상설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고려는 정규 관부의 신설이 아닌 기존의 비상설기구인 영송도감의 상설화를 통해 소규모 관부와 관원의 운용만으로도 여러 관사 내에서의 사절 영접을 효율적으로 운영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迎送都監의 설치와 운영
Ⅲ. 영송도감의 운영상 특징
Ⅳ. 맺음말
<국문초록>
<영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규록 Kim, Kyu-Rok. 동덕여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