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傳 樂壽亭 梵鍾에 대한 새로운 見解 - 後百濟 被虜 新羅 匠人의 活動과 關聯하여 -

원문정보

A New Perspective on Naksujeong Buddhist Bell -Insights into the Activities of Silla Craftsmen Captured by Later Baekje -

전 낙수정 범종에 대한 새로운 견해 - 후백제 피로 신라 장인의 활동과 관련하여 -

진정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aksujeong (樂壽亭) Buddhist Bell was brought out to Japan as it was donated to Sujoin (水城院) Temple in Fukuoka, Japan by Makoto Saito, who was the governor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bell returned to Korea in 1999 and is currently on display at the Jeonju National Museum. Studies on this bell have been treated fragmentarily in relation to the bell of Enseiji (圓淸寺) in Japan, and it has generally been estimated that it was created between the end of the 10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style of Naksoojeong Bell's surface and the proportions without any preconceived notion that it is a Goryeo Buddhist bell, and to identify the time and maker of the bell. As a result, the Naksujeong Bell show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that can be seen in the bells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the traditional style of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Yongnyu (龍鈕: hook to hang the bell) and the sound pipe (音筒), as well as the ornamental statue of the heavenly maidens on the surface of the Naksujeong Bell, are influenced by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which was prominent during the Silla period. In addition, by examining proportions such as , which determines the shape and proportion of the bell, the time of creation was narrowed down to the early 10th century. confirmed. Subsequently, the proportion and similarity of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was review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made by craftsmen belonging to the central government of Silla. Taken together, Naksujeong Bell is a bell made by outstanding craftsmen of Silla who took it to Jeonju after the King Gyeon-hwon of Later Baekje invaded Gyeongju in 927. Craftsmen who were organized in the center of Silla who made Naksujeong Bell made Enseiji Bell by supplementing errors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revealed that they created a stone statue of Cheolcheon-ri, Naju with a gilt-bronze Buddha as a motif. The possibility that craftsmen were active in the Later Baekje area even after the fall of Later Baekje was examined. By revealing the lineage, production time, and maker of the Naksujeong bell,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reality of the outstanding craftsman of Silla who was captured by Gyeon-hwon during the invasion of Gyeongju in 927 recorded in 『Samguksagi (三國史記)』, and the activities until the fall of Later Baekj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Buddhist art style shared by craftsmen from the center of Silla who were active in Later Baekje was Buddhist art originating from the royal family in the middle period (中代) of Silla Dynasty.

한국어

傳 樂壽亭 梵鍾은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이었던 사이토 마코토가 일본 후쿠오카 스조우인(水城院)에 기증하면서, 일본으로 반출되었다. 이 종은 1999년 다시 한국으로 되돌아왔으며, 현재 국립전주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이 범종에 관한 연구는 낙수정 종과 ‘同胞同范’으로 만들었을 것으로 여기는 일본 엔세이지(圓淸寺) 범종과 함께 단편적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대체로 10세기 말~11세기 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낙수정 종이 고려 범종이라는 선입견 없이 표면 장엄의 양식과 종 세부의 비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제작 시기와 장인을 밝혀 보기 위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낙수정 종은 신라 하대 범종 및 고려 초 전통양식 범종에서 볼 수 있는 구조와 특징을 보이지만, 龍鈕와 音筒의 구조와 형태, 供養飛天像을 비롯한 표면 장엄 문양을 볼 때 聖德大王神鍾을 모티프로 제작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종의 계통과 제작 시기를 결정짓는 ‘신고:구경’과 같은 비례를 검토하여 10세기 초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또, 성덕대왕신종의 비례와 유사성을 검토하여, 신라 중앙 장인이 직접 만들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낙수정 종은 927년 후백제 국왕 甄萱이 경주를 침공했을 때 포로로 잡은 신라의 뛰어난 장인들이 만든 종인 것이다. 아울러, 후백제 被虜 신라 중앙 장인(집단)은 낙수정 종을 먼저 만든 후 제작 과정의 오류를 보완하여 엔세이지 종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금동불을 모티프로 한 羅州 鐵川里 石佛立像을 조성한 것과 후백제가 멸망한 이후까지도 옛 후백제 지역에서 활동하였을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낙수정 범종의 계통 및 제작 시기와 장인의 정체를 밝힘으로써, 『三國史記』에 기록된 927년 경주 침공 시 견훤이 포로로 삼은 신라의 뛰어난 장인의 실체와 후백제 멸망 이후까지의 활동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후백제에 끌려온 신라 장인들이 당대의 불교미술 양식보다는 좀 더 전통적인 불교미술 양식을 바탕으로 하였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양식 특징과 계통
Ⅲ. 제작 시기와 장인
Ⅳ. 후백제 피로 신라 장인의 활동과 영향
Ⅴ.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진정환 Jin, Joung-Hwan. 국립익산박물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