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s remote services and remote work become commonplace, the use of the Metaverse has grown. This allows transactions like real estate and finance in virtual Second Life. However, conducting economic activities in the Metaverse presents unique security challenges compared to the physical world and conventional cyberspace. To address these, the paper proposes solutions centered on authentication and privacy. It suggests improving data preprocessing based on Metaverse data's uniqueness and introduces a new authentication service using NFTs while adhering to W3C's DID framework. The system is implemented using Hyperledger Indy blockchain, and its success is confirmed through implementation analysis.
한국어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과 원격근무 등의 생활이 일상화되면서 메타버스의 이용자가 급증하였으며, 세컨드 라이프를 위한 금 융, 부동산 등 자산 실거래로써 사람들의 생활반경이 자연스럽게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실세계에서와 같이 경제 활동을 자유 롭게 하기에는 전혀 다른 쟁점의 보안 이슈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존의 사이버 공간과 비교해도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문 제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증 및 프라이버시를 중점으로 방안을 제안한다. 메타버스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특수성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처리 기능을 개선하고, W3C의 DID의 표준 방식을 준수하는 가 운데 NFT를 활용한 메타버스 내 새로운 인증 서비스를 정의하며, 이에 대한 시스템 설계 및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하이퍼레저 인디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구현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적용 가능성 및 우수성을 검증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관련 연구
2.1 메타버스 보안을 위한 관련 기술
2.2 선행연구 조사 분석
3. 메타버스 내 안전한 인증 서비스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
4. TDUA(Trust-based Decentralized User Authentication) 시스템본
4.1 DID 및 NFT 발급
4.2 인증 과정을 통해 서비스 이용
5. 성능 분석 및 고찰
5.1 메타버스 내 활용 데이터 정의
5.2 성능 측정 및 분석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