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구획화, 차별적 중요성의 조절된 조절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Depression :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Compartmentalization and Differential Importance

김나연, 이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compartmentalization and differential importance would have a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levels of self-discrepancy, compartmentalization, differential importance,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for 457 adults aged 18 or older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moderated modera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self-discrepancy, compartmentalization and differential importance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depending on the level of discriminatory importance, the effect of self-discrepancy and compartmentalization on depression was different. If low level of differential importance(negatively organizat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self-discrepancy and compartmentalization on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On the contrary, the higher the level of differential importance(positively organization), the lower compartmentalized organization experienced relatively low levels of depression, even if they have a high 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ideal self. The results of the study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depression by integrating the self-concept structure. And we also suggested that different therapeutic interventions are needed depending on the levels of self-discrepancy, compartmentalization, and differential importanc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구획화와 차별적 중요성이 상호작용하는지 검 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만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 질문지 척도(Self-Questionnaire), 자기 측면 검사, 통합적 한국판 CES-D 척도를 실시하였고 457 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 정에서 구획화와 차별적 중요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차별적 중요성 수준에 따라 자기불일치 및 구획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였다. 차별적 중요성이 낮을 때는(부정 중심 조직화) 우울에 대한 자기불일치와 구획화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달 리, 차별적 중요성이 높을 때(긍정중심 조직화), 통합화 양식을 지닌 개인은 구획화 양식을 지닌 개인에 비해 실제 자기와 이상적인 자기 간의 불일치 수준이 높더라도 우울을 덜 경험 하였다. 연구 결과는 자기개념의 구조적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다루어 우울증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자기불일치, 구획화, 차별적 중요성의 수준에 따라 상이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평가 도구
연구 절차
자료 분석
결과
기술통계치 및 각 변인 간 상관관계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구획화의 조절효과 검증
자기불일치, 구획화, 차별적 중요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나연 Nayeon Kim.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수련생
  • 이영호 Young-Ho Lee.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