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차원적 자기조절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 목표추구 요인과 충동통제 요인의 변별적 기능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 Focusing on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Goal Pursuit and Impulse Control Factors

이슬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spects of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To achieve this, the study exm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ladjustment (depression, anxiety, internet addic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Comprehensive Self-Regulation Scale and other self-reported scales assessing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were administered to 296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regul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negatively related to maladjustment variables, and significantly predicted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variables, and significantly predicted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Each subfactor of self-regulation showed differential relationships with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Specifically, the goal pursuit factor explained life satisfcation, psychological well-being(life purpose and personal growth), and the impulse control factor explained maladaptive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internet addic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However, the effects of the cognitive reflection factor on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were weak or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의 다양한 측면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 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 자기조절과 심리적 적응(주관적 안녕,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응(우울, 불안, 인터넷 중독, 학업적 지연 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통합적 자기조절 척도 (Comprehensive Self-Regulation Scale), 삶의 만족도 척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th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한국판 역 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상태불안척도(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X), 한국판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K-척도), 학업적 착수-완수 지연 척도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기조절과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은 심리적 적응과는 정 적 상관, 부적응 변인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자기조 절의 각 하위 요인은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과 차별적인 관계를 나타냈는데, 목표추구 요인은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의 삶의 목적 및 개인적 성장을 특히 잘 설명하였으며, 충동통제 요인은 우울, 불안, 인 터넷 중독, 학업적 지연 행동과 같은 부적응 증상을 특히 잘 설명하였다. 한편, 인지적 숙고 요인이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약하거나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 분석
결과
기술통계량
자기조절과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과의 상관분석
자기조절이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슬아 Seul-Ah Lee. 경남대학교 심리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