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Layout Framing on SNS Shopping Information : A-D Perspective
초록
영어
With the recent explosive popularity of SNS,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utilize SNS marketing, and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image and caption order in SNS layout is also growing.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SNS layouts (Image First vs. Caption First) on the user's attitude toward SNS shopping.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50 general public and college(graduate) students living i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ROCES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by SPSS 21.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mage First was more accessible than the Caption First. The Caption First was confirmed to be more diagnostic than the Image First. Moreover, from three specific mediation paths, only two were confirmed, named is through diagnosticity and usefulness, and through accessibility, diagnosticity, and usefullness. The path through diagnosticity and usefulness were stronger than another. Additionally, the impact of accessibility on diagnosticity was found to be higher when involvement was high rather than when involvement was low.
한국어
최근 SNS의 폭발적인 인기에 힘입어 SNS 마케팅의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SNS 레이아웃의 Image 와 Caption 순서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NS 레이아웃의 이미지와 텍스트 순서가 사용자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일반인과 대학(원)생들 350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ROCESS, 회귀분석, t-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Image First 레이아웃이 Caption First 레이아웃에 비해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Caption First 레이아웃이 Image First 레이아웃에 비해 진단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SNS 레이아웃이 사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3가지 경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SNS 레이아웃이 사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진단성과 유용성이 매개하는 경우와 접근성, 진단성 및 유용성이 매개하는 경우의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두 경우 중 진단성과 유용성의 매개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접 근성이 진단성에 미치는 영향은 관여도가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SNS 광고 레이아웃
2.2 접근성-진단성 모델(ADM: Accessibility -Dignosticity Model)
2.3 시퀀스 효과(Sequence Effects)
2.4 접근성, 진단성, 유용성
3.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1. 연구모형
3.2 가설설정
4. 실증분석
4.1 실험설계 및 조사대상
4.2 자극물의 개발
4.3 변수 측정
4.4 가설검정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