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훈련전이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직무일치의 조절효과 : NCS 기반 교육・훈련 참여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Job Match 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of Trai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Participants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n a Basis of NCS

전성준, 이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of training with N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view of the labor market trend of disappearing jobs for life.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match on this relationship is verifi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enhances its academic value and has practical or policy implications. [Methods] Before testing and setting up the hypotheses, we reviewed relevant previous researches. Hypotheses were derived based on theory of vocational choice, work adjustment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The research subjects were 943 SME workers who participated in or completed NCS-bas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rom 2021 to 2022. SPSS PROCESS Macro and AMO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We performed statistical validation such as structural model validation afte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We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slope test, and bootstrapping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and verify the significance of hypotheses. [Results] First, transfer of train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job match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of training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transfer of training on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is strengthened in the group with high job match. Bootstrapping us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match, and it showed th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mplic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of train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with NCS and ident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match. The results showed that NCS is needed for education and training, and recruitment.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평생직장이 사라지고 있는 노동시장의 흐름을 고려하여 교육훈련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적용한 교육 훈련전이와 조직유효성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직무일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학술적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방법] 분석하고자 하는 주요 변수 간 가설 설정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직업선택이론, 직무적응이론 및 사회교 환이론을 바탕으로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1년부터 2022년까지 NCS 기반 교육훈련 과정에 참여한 중소기업 근로자이며, 총 943 명의 표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및 AMOS 프로그램이 활용되었으며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이후 측정 및 구조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 단순 기울기 검증 및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유의성 검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교육 훈련전이는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일치는 교육 훈련전이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일치가 높은 집단에서 교육 훈련전 이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래프는 우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 을 활용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 직무일치의 조절역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시사점] 본 연구는 그동안 잘 시도되지 않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적용한 교육 훈련 과정을 바탕으로 한 전이 성과와 조직 성과를 가 늠할 수 있는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검증 및 직무일치의 조절역할을 실증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국가직무능력표준(NCS)
2. 교육・훈련전이
3. 직무일치의 조절효과
III.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2. 연구 대상
3. 분석 변수 및 조작적 정의
4. 분석 절차 및 방법
IV. 분석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및 동일방법편의
2.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3. 가설 검증
V. 결론
1. 연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성준 Jeon, Seong-Jun.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원, 충북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이지현 Rhie, Ji-Hyeon.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연구원, 충북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