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스닥(KOSDAQ) 기업의 ESG 활동과 기업의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 간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KOSDAQ-listed Firms’ESG Activities, Corporate Performance, and Firm Value

엄성빈, 김현도, 김동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ESG activities, corporate performance, firm value of Korean KOSDAQ-listed companies,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m. For the study period from 2012 to 2014, we conduct empirical analysis using ESG scores published by the Korean Governance Service as proxy for ESG activities. We found the following main empirical results. First, we found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 between R&D expenditures and ESG activities. It implies that the higher ratio of R&D expenditures to total assets a firm has, the more actively it participates in ESG activities. Second, we found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 between ESG activities and sales. So when a firm is more active in ESG activities, it earns more sales. Third, we found a negative relation between ESG activities and profitability (ROA, RO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we divide ESG activities into E(Environmental), S(Social), and G(Governance) sub-activities, however, we found a significantly negative and positive relation for E and G sub-activities with the profitability, respectively. Fourth, we found mixed results between ESG activities and Tobin’s Q as a proxy for firm value, but a positive relation between ESG activities and PBR, but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we divide ESG activities into E(Environmental), S(Social), and G(Governance) sub-activities, however, E(Environmental) sub-activities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association with firm value, i.e., Tobin's Q or PBR. In contra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G(Governance) and firm value. That is, for a firm with more eco-friendly activities, they incurs lots of cost, which have a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It may imply that since KOSDAQ-listed small and medium-sized firms have a short history of small environmental expenditures, it rather negatively affects firm value. Last, but not least, better corporate governance results in higher firm value, implying that they have a longer history of corporate governance enhancement, and see firm value increase.

한국어

본 연구는 KOSDAQ 기업을 대상으로 ESG 활동과 기업의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ESG 경영이 중요해진 가운 데 국내 대기업들은 ESG 활동을 증가시키는 반면, 중소기업들은 아직까지 ESG 경영의 계획부터 실행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또한, 학계에서 도 KOSDAQ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데이터의 한계 등으로 기업의 성과 및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ESG 경영이 재무성과를 비롯한 경영성과와 장기적인 기업가치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여 KOSDAQ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에게 ESG 경영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자산 대비 R&D 비중과 기업의 ESG 활동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총자산 대비 R&D 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ESG 활동이 활 발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ESG 활동과 매출액은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ESG 활동이 활발한 기업일수록 매출액 규모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ESG 활동과 수익성(ROA, ROE)은 양(+)의 관계가 나타났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ESG 활동을 ESG로 세분화하 여 분석한 결과, 환경(E)의 경우 수익성(ROE)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즉 친환경 활동의 경우 기업의 자기자 본이익률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지배구조(G)의 경우 수익성(ROA, ROE)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즉 지배구조 개선의 경우 기업의 수익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ESG 활동과 기업가치 측정을 위하 여 종속변수로 사용한 Tobin’s Q, PBR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음(-)과 양(+)의 관계가 혼재하였다. 그러나 내생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한 고정효과 모형에서는 Tobin’s Q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ESG 활동을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로 세 분화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환경(E)의 경우 기업가치(Tobin’s Q, PBR)와 유의한 수준에서 음(-)의 관계가 나타났으나 지배구조(G)의 경우 고정효과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양(+)의 관계가 나타나며 수익성(ROE)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즉, 본 연구의 표본기간 동안 KOSDAQ 기업의 친환경 활동은 기업의 수익성과 기업가치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나 지배구조 개선은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 이에 따라 국내 중소기업의 친환경 활동은 그 규모와 역사가 일천하여 아직 주식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을 시사하여 ESG 비용 이론이 지지된 반면, 다수의 대기업 및 재벌기업들이 지배구조 개선을 국내시장에서 주도하는 가운데 지배구조의 개선은 코스닥기 업의 경우에도 기업이미지와 이해관계자들의 로열티 증대를 통해 ESG 가치상승 이론을 지지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ESG 활동과 경영성과와의 관계
2. ESG 활동과 기업가치와의 관계
3. 가설 설정
III. 연구 방법론
1. 연구자료 및 변수의 설정
2. 연구분석 모형
IV. 실증분석 결과
1. 기초통계량 분석 결과
2. R&D 비중과 ESG 활동
3. ESG 활동과 매출액
4. ESG 활동과 수익성
5. ESG 활동과 기업가치
V. 요약 및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경영컨설팅 분야의 시사점
3.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엄성빈 Eum, Sung-Bin. 중앙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 김현도 Kim, Hyun-Do. 강남대학교 글로벌경영학부 조교수
  • 김동순 Kim, Dong-Soon.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