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life-long employability competency of young peopl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youth life-long employability competency model' by identify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youth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to lead to successful employment from a lifelong perspective. A draft of the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through consideration of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verify validity. The panel consisted of 26 participants, consisting of the 'corporate personnel and HRD manager group', 'HRD expert group', 'university career and employment manager group', and 'youth career and employment consultant group'. The validity value consisted of mean, standard deviation, median value, mode value, percentile (25, 50, 75), CVR, degree of convergence, degree of agreement,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stability), and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e open-ended opinions of the panelist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and the draft of the competency model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o complete the competency model. The developed youth life-long employability competency model is vocational career preparation competency group (vocational career attitude ability, vocational career search ability, vocational career planning ability), vocational professional competency group (major knowledge development ability, professional qualification development ability, job competency development ability), vocational common competency group (work basic competency, work processing ability, organizational adaptation ability), job seeking analysis competency group (job suitability analysis ability, organizational suitability analysis ability, recruitment analysis ability), job seeking action competency group (job application documents writing ability, job interview ability, job seeking search and application ability), 5 sub-competency groups, 15 sub-competencies, and 46 behavioral indicators were confirmed.
한국어
본 연구는 청년층의 취업준비 활동이 생애관점에서 성공적인 취업으로 이어지기 위해 요구되는 역 량의 요소와 행동지표를 규명하여 ‘청년층 취업역량모델’을 개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해 이론 및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청년층 취업역량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청년층 취업역량모델의 초안을 개발하였고, 타당도 검증을 위해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의 패널은 ‘기업 인사 및 HRD 담당자 그룹’, ‘HRD 전문가 그룹’, ‘대학 진로 및 취업 담당관 그룹’, ‘청년층 진로 및 취업 컨설턴트 그룹’으로 구성된 26명이 참가하였다. 델파이 조사에서 타당성 값은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최빈값, 백분위수(25, 50, 75), CVR, 수렴도, 합의도, 변이계수(안정도) 항목으로 구성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그리고 역량모델의 구성요소와 정의에 대한 패널들의 개방형 의견을 수렴하여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토대로 역량모델의 초안을 수정 및 보완 작업하여 청년층 취업역량모델을 완성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청년층 취업역량모델은 직업진로준비역량군(직업진로태도능력, 직업진로탐색 능력, 직업진로설계능력), 직업전문역량군(전공지식개발능력, 전문자격개발능력, 직무역량개발능력), 직 업공통역량군(업무기초능력, 업무처리능력, 조직적응능력), 구직분석역량군(직무적합성분석능력, 조직적 합성분석능력, 채용분석능력), 구직실행역량군(구직서류작성능력, 구직면접능력, 구직탐색·지원능력)으 로 구성된 5개의 하위역량군, 15개의 하위역량, 46개의 행동지표로 확정되었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2.1 취업역량관련 유사 개념
Ⅲ. 연구 방법
3.1 연구 절차
3.2 연구 참여자
3.3 측정도구 및 자료수집
3.4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4.1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하위역량 도출
4.2 청년층 취업역량모델 초안
4.3 1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4.4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4.5 3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4.6 청년층 취업역량모델 확정
Ⅴ. 논의
5.1 청년층 취업역량 개념
5.2 청년층 취업역량 특성
Ⅵ. 결론 및 제언
6.1 결론
6.2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