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애도, 기억, 치유 그리고 연대의 미학 - 광주비엔날레에 나타난 5·18민주화운동의 시각화 전략 연구

원문정보

The Aesthetics of Mourning, Memory, Healing and Solidarity - A Study of the Visualization Strategy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during the Gwangju Biennale

조사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strategies related to the trend of contemporary art and how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is visualized and implemented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focusing on entries submitted to the Gwangju Biennale, a barometer of contemporary art. As can be seen from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the Gwangju Biennale was born to heal the pain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through culture and to inherit the spirit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peace that resisted dictatorship through culture. Gwangju Metropolitan City, with its poor economic and industrial infrastructure, competed with Seoul and Jeju Island in the 1990s to host the event because it had a cultural justification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long-established traditions. In other words, the Gwangju Biennale is the medium that reveals the spirit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historicity of Gwangju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 era. Under the basic direction of its founding, the Gwangju Biennale has presented a unique discourse by visually realizing the exhibition strategy of the organizer at each event, and 5·18 in relation to this can be said to be value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melted into each event. However, there have been no archived papers that deal with the flow of the Gwangju Biennale over the course of 29 years. Therefore, this thesis archives works dealing with 5·18, and presents the aesthetics of works dealing with 5·18 in multi-layered contexts, such as ‘site-specific’, an aesthetic discourse and phenomenon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archives; participatory art, direct or metaphorical imagery techniques; and an expansion and social transformation of contemporary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vidence and visualization strategies. Through this thesis,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c theorization and conception will be established as research on art dealing with 5·18 is actively conducted. It is hoped that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once again reflect on the role of art by evoking the historical event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condemned the conspiracy of the new military government in 1980 and demanded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through a visual medium in modern and contemporary Asian history.

한국어

본 논문은 광주비엔날레 출품작을 중심으로 5·18민주화운동(이하 5·18)이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어떻게 시각화되고 구현되는 지 전략을 연구한다. 광주비엔날레는 창설 취지에서 알 수 있듯 5·18의 아픔을 문화로 치유하고, 독재에 항거했던 민주와 인 권, 평화 정신을 문화로 계승하기 위해 태동했다. 경제적·산업적 인프라가 열악했던 광주광역시가 서울과 제주도 등과 경합해 행사를 유치할 수 있었던 데는 역사적 당위성과 예로부터 뿌리 내린 예향을 근거로 한 문화적 명분이 자리했기 때문이다. 즉 군부독재 시대 민중들이 항거했던 5·18의 정신과 예향 광주의 역사성을 드러내는 매개체가 광주비엔날레인 셈이다. 이러한 광주비엔날레는 창설 기본 방향 아래 매 대회마다 기획자의 전시 전략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면서 광주비엔날레 만의 담론을 던져왔으며 이중 5·18은 직·간접적으로 녹아들었던 가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29년 동안 역대 광주비엔날레의 흐름 속에서 이를 다룬 작품의 아카이빙 논문은 전무했다. 이에 본 논문은 5·18과 관련된 작품을 아카이브하고, 동시대 미술 현장의 미학 적 담론이자 경향인 장소특정성, 아카이브, 참여예술, 직접적이거나 은유적인 형상화 기법, 동시대 미술이 지닌 확장성과 사 회적 전환 등의 다층적인 맥락에서 5·18을 다룬 작품들의 미학적 근거와 시각화 전략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5·18 을 다룬 미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개념 정립과 이론화의 초석이 되길 바란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논문의 배경
1.2. 연구 방법
2. 5・18의 예술적 승화로서 광주비엔날레 발화
2.1. 광주비엔날레 창설 배경
2.2. 역대 5・18 시각화 작품 비중 분석
3. 5・18의 형상화 쟁점과 예술적 실천들
3.1. 장소 특정성… 현장과 공간의 모뉴먼트
3.2. 기억과 증언, 재맥락화의 아카이브
3.3. 참여를 통한 치유와 회복
3.4. 정치적인 것과 시적인 것
3.5. 독재정권 비판과 확장되는 항쟁들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사라 Cho, Sarah. (재)광주비엔날레 선임 / 전남대 미술학과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