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KSFE-O1

지표유출에 의한 산불피해지의 토양침식 및 탄소유실량 평가

원문정보

Analysis of Soil Erosion and Carbon Loss from Runoff Plots of a Fire-damaged Forest

김태현, 정진규, 임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산불은 지상의 유기물을 연소시켜 지면에 도달하는 유효우량을 증가시키고, 지표면에 재층과 토양 발수층을 형성함에 따라 산림 유역의 유출 특성을 변화시킨다. 산불이 발생하면 유기물 탄소의 대부분은 완전 연소되어 이산화탄소 형태로 대기 중으로 배출되며, 일부는 불완전 연소 되어 토양 표면에 잔존한다. 산불 후 지표유출량이 증가되면 지표면의 토양침식이 가속화되고 유기탄소가 많이 유실된다. 이 연구에서는 산불 발생 직후에 유출포장(runoff plot)을 설치하여 산불피해강도에 따른 산불피해지의 유출 및 수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산불피해강도에 따라 토 양발수성과 수리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강우유출량을 조사하고 토양침식량과 탄소의 유실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관전소지의 토양은 다른 지역에 비해 소수성이 높고, 포화 수리전도도 가 낮았다. 강우-유출률은 수관전소지가 미피해지역에 비해 5.4 배 높았으며, 토양의 총 유실량 은 3.0 배 많았다. 수관전소에 의한 산불피해지 표면의 총 유기탄소 유실량은 수관열해지의 2.0 배, 미피해지보다 5.2 배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불이 지표 유출을 증가시키고, 토양 침식과 탄소 유실을 촉진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산불 후 강우-유출에 의해 발생하는 토양 및 탄소 유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산불피해지역에 적합한 관리 방안이 신속히 도입되어야 한다.

저자정보

  • 김태현 Taehyun Kim. 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 정진규 Jingyu Jeong. 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 임상준 Sangjun Im. 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