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ookmy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houses old Korean manuscripts of novels written by Hwanghae-do Eunnyul. These novels are available in seventeen volumes and are of twelve types: Dongguksa-gi, Sassinamjeong-gi, Seokhwaryong-jeon, Sodaiseong-jeon, Soyun-jeon, Singyeohu-jeon, Yubakno-jeon, Leedaibong-jeon, Janghaksa-jeon, Judaimyeong-jeon, Jindaibang-jeon, and Togong-jeon. These were written 1902–1905. The study of these texts revealed several facts. First, the Eunnyul manuscripts have been practically unexplored. Second, they were written down by a professional transcriber.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anuscripts are different from woodblock-print texts or lending-library texts. Fourth, these manuscripts are actively engaged in dialogue and letters. This study affords us deeper insights regarding the original version of the manuscript of the novel.
한국어
이 논문은 숙명여대에 소장되어 있는 고소설 가운데 황해도 은율에서 필사된 12종 17책에서 발견되는 서지적 특성을 충실하게 정리하고 개별 작품에 대한 이 본적 특성도 간략하게 점검해 봄으로써, 은율 필사본 전체에 대한 연구를 위한 준 비를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은율 필사본은 <동국사기>, <사씨남정기>, <석화룡 전>, <소대성전>, <소윤전>, <신계후전>, <유백로전>, <이대봉전>, <장학사전>, <주대명전>, <진대방전>, <토공전> 등이다. 황해도 은율 필사본 12종 17책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이본의 수도 많은 작품이 많지만, <동국사기>나 <주대명전>처럼 이본이 거의 없거나 이 논문을 통해 처음 소개되는 작품도 일부 포함하고 있다. 12종의 작품은 필사 장소가 황해도 은 율 신흥리로 동일하게 나타나고 필사된 서체도 동일하여 같은 필사자에 의해 필사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면당 행수가 12행으로 고정되어 있고 필사의 형식도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점 등에서 고소설 필사에 상당히 전문적인 능력을 가진 필사 자가 정성을 들여 필사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상업적 유통본인 세책을 염두에 두고 필사한 것이 아닌가 추정할 수 있게 하지만, 책당 장수가 30 ∼51장으로 일정하지 않고, 필사체가 장평을 줄인 납작한 형태로 되어 있어 장수 나 책수를 늘리려는 의도가 보이지 않으며, 필사지인 은율군 신흥리가 상업적 유 통보다는 농업적 생산에 적합한 지역이라는 점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세책과는 차 이를 보인다. 일부 작품에 대한 이본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를 통해서도 세책이나 방각본과 같은 상업적 유통본과는 행문이 거의 일치하지 않고 내용이나 단락에서도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세책과 방각본을 대본으로 필사한 것은 아니고, 당시의 상업적 유통본들과 일정한 거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논문에서 정리한 서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면서, 은율 필사본과 밀접한 관 계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청풍백운동 필사본을 추가하고, 개별 작품들에 대한 보 다 면밀한 이본 연구를 보완하여 은율 필사본의 전체적인 성격을 파악하는 작업을 후속 과제로 남긴다.
목차
1. 머리말
2. 은율 필사본의 서지적 특징
3. 은율 필사본 개별 작품 개관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