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조신(竈神)신앙과 도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Faith and Iconography of the Kitchen Deity

김현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inese Buddhism's Kitchen deity, which began in the Eastern Jin period, was initially expressed as a ghost that harms people, not as a good god. It was not until around the 7th century that Kitchen deity began to be accepted as a good Buddhist deity. Through the anecdote of "Pajota Seon Master" written in 『song-gao-seng-chuan』, it can be guessed that the folk belief in Kitchen deity became Buddhist around the 8th century. The anecdote of "Pajota Seon Master" also influenced the belief in Kitchen deity in Korean Buddhism. The anecdote of "Pajota Seon Master" is a 'Gatha' for Kitchen deity and appears in the Collections of Korean Buddhist Rituals published in the 19th century. In Korean Buddhism, the earliest example of a ritual for Kitchen deity is 『the Sutra of Thirty Merit Objects Commentaries』. Kitchen deity appearing in 『he Sutra of Thirty Merit Objects Commentaries』 published in Goryeo(高麗) was greatly influenced by Tao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examined that the object of "Tanghwa Singun" was replacing Kitchen deity. This phenomenon could be seen through comparis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Zen-buddhism rituals. The folk belief in Kitchen dei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spread through the "Bulseoljowanggyeong" and "Bulseolhwanheejowanggyeong" contained in the "Bulseol Gwangbon Daesegyeong" published around the 17th century. By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e ritual for the folk belief in Kitchen deity was established, and "Jowangcheong" began to appear in the ritual collection. Around this time, the Kitchen deity is clearly depicted in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The appearance of Kitchen deity in Buddhist paintings was based on the Iconography of Taoism or the character of Kitchen deity described in rituals. The Kitchen deity of the Buddha in Samjang Bodhisattva painting and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imitated the Panbushinchun of The Scripture of the Jade Pivot. Since the 19th century, as the belief in the "Kwansungjegun" spread, the "Kwansungjegun" was borrowed as an iconography of Kitchen deity. In addition,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used "Oh-Haeng-tong," "Gwa-Rok", "Cho Wang-pae," and "Janghwa-tong" as motifs symbolizing Kitchen deity. Paintings of Kitchen deity, produced after the 20th century, can be divided into generals, judges, and kings. In addition, depending on how the screen is constructed, it can be divided into independence and Triad Painting. In particular, Triad Painting produced Haeinsa Yaksuam in 1925 faster than the publication of 『Buljafilam』 in 1931. It can be seen that the concept of this was established before the ritual book.e the ritual book.

한국어

동진 시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중국 불교에서의 조신은 초기에 선신(善神)이아니라 사람들에게 피해를 끼치는 귀신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7세기 무렵에야조신은 불교의 선신으로 수용되기 시작했으며, 『송고승전』에 수록된 파조타 선사의 일화를 통해 8세기 무렵 민속의 조신 신앙이 불교화되었다는 것을 짐작할수 있다. 파조타 선사의 일화는 한국불교의 조신 신앙에도 영향을 미쳐 19세기 의례집에서 조신에 대한 게송으로 파조타 선사의 일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한국불교에서 조신에 대한 의례의 가장 이른 사례는 『삼십팔분공덕소경』이다. 고려에서 간행한 『삼십팔분공덕소경』에 나타나는 조신은 도교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조선전기에는 ‘탕화신군’이란 신격이 조신을 대신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한국, 중국, 일본 선종 의례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조선후기의 조신신앙은 17세기 무렵 간행된 불설광본대세경에 수록된 「불설조왕경」과 「불설환희조왕경」을 통해 널리 성행했다. 18세기 중반에 이르면 조신 의례가 성립되어 의례집에 「조왕청」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 무렵 신중도에서 조신이 구성요소로 확고히 자리 잡게 되었다. 한편 불화에서의 조신 도상은 조선전기부터 계승되던 도상이 없었기 때문에도교 도상에서 차용하거나, 의례에 표현된 조신의 성격에서 모티프를 만들어 도상을 창출했다. 먼저 삼장보살도나 신중도에서는 옥추경의 판부신천군 도상을차용해 조신을 그리기 시작했고, 19세기 중반 이후에는 관성제군 신앙의 성행에따라 관성제군의 도상을 조신의 도상으로 차용하기도 했다. 아울러 신중도에서는조신을 상징하는 모티프인 오행통, 과록, 조왕패, 장화통 등을 통해 조신의 도상을 표현하기도 했다. 20세기 초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조왕도는 본존의 도상에 따라 장수형, 판관형, 제왕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화면구성에 따라서는 독존도와 삼존도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조신 의례에서 조신삼존은 1931년 간행된 『불자필람』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작품으로는 1920년 통영 안정사 <조왕도>가 가장 이른 사례이다. 따라서 의례집보다 먼저 조신삼존의 개념이 성립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불교의 조신신앙
Ⅲ. 신중도의 竈神 도상
1. 도교 도상의 차용
2. 지물을 통해서 본 조신 도상
Ⅳ. 조왕도의 도상과 화면구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중 Kim Hyun-Joong. 전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