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조선후기 사찰의 고전소설 벽화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urals of Classical Novels in the Buddhist Temple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박세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scrib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novels featured in late Joseon temple murals, which are still in existence today, and examines the background and role of these novels selected for the temple murals. These classical novels depicted in the temple murals evenly range from the mid-18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Except for Sinreuksa Temple in Jecheon, all of them are located in Gyeongsangnam-do. Classical Chinese novels, such a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Journey to the West, and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 Ranked Biographies, are included in the murals, while Korean novels, such as Imjillok and The Hare's Liver, are featured. Since these classical novels were painted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of temples, not privately owned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not just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artworks but also a sense of awe and solemnity in a place for worship, they were chosen for the background of the temple murals and given a role in the temples. Basic elements represented in these classical novel murals were influenced by the editions of the texts or painting techniques in general. However, subjects were chosen in each scene to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temples at the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lls. The scene of suryukjae, a Buddhist ceremony to console wandering spirits in waters, in Journey to the West reflected how suryukjae was actually conducted in Tongdosa, as it was chosen by Buddhist monk painters in Cheonji Myeongyang Suryukjaeui Chanyo modified in 1637 at Tongdosa Temple and Gwaebul painted in the 6th year of the reign of the Shunzhi Emperor (1649). The Hare's Liver was chosen in Tongdosa Temple, seemingly to pray for the next life of the dea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yeongbujeon in mind as its surroundings were decorated solemnly with Sosangpalgyeongdo. As demonstrated above, these classical novel murals also functioned in defeating spirits, providing edification, and offering consolation, and served as a medium to link ordinary people and Buddhism at that time. In other words, by fully incorporating the appearance and atmosphere of the temples at that time, the classical novel murals would have duly played their role of bringing familiarity to worshippers visiting the temples.

한국어

본 고에서는 현존하는 조선후기 사찰벽화에 그려진 소설도의 현황과 특징에대해 서술하고 사찰벽화에 이 도상들이 선택된 배경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사찰벽화에 그려진 고전소설 벽화는 18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고르게분포되었으며, 제천 신륵사를 제외하면 고전소설이 그려진 벽화는 모두 경상도일대에 분포하고 있다. 중국고전소설로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와 『서유기(西遊記)』, 『사기열전(史記列傳)』이 등장하며, 국내소설로는 『임진록(壬辰錄)』과 『토끼전』의 내용이 소재로 쓰였다. 민간이 아닌 사찰의 불전 내·외부의 공간에 고전소설도가 그려지면서 단순히감상용이 아닌 예배의 공간을 장엄하는 용도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사찰벽화에 이도상이 선택된 배경과 불전 내에서의 역할이 부여되었다. 고전소설 벽화는 표현에 있어서 기본적인 요소들은 판본의 영향을 받았거나일반회화의 영향이 남아있다. 그러나 각 장면 별로 당시 사찰의 상황과 전각의 성격을 반영하여 소재가 선택되었다. 통도사 용화전 <서유기도>의 수륙회 장면은 통도사에서 1637년에 개간된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와 현존하지는 않지만 순치6년(1649) 에 조성된 <괘불도> 등을 통해 화승(畵僧)이 이 장면을 선택하면서 당시 통도사에서 실제로 설행되어지던 수륙재의 장면을 현실적으로 반영했음을 알 수 있다. 또 통도사 명부전 <토끼전도>는 주변을 <소상팔경도>로 장엄하면서 명부전의 성격을 염두하여 죽은 망자의 다음 생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선택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고전소설 벽화들 또한 각각 벽사의 기능, 교화의 기능, 위로의 기능을 가지는 등 고전소설 벽화는 당시 민간과 불교를 이어주는 매개체였다. 즉, 고전소설 벽화는 당시 사찰의 모습과 분위기를 적극 반영하여 법당을 참배하는 참배객에 친근함을 줄 수 있는 소재로 충분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전소설 벽화의 현황과 내용
1. 서유기도
2. 삼국지연의도
3. 사명대사행일본지도
4. 토끼전도
Ⅲ. 고전소설 벽화의 등장 배경과 역할
1. 고전소설 벽화의 등장 배경
2. 고전소설 벽화의 역할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세진 Park Se jin. 동국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