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1748년 강원지역 喚醒系 鞭羊門中의 寶月寺 佛事와 조각승 印性·緇俊

원문정보

Bowolsa Temple’s Bulsa in 1748 by the Pyeonyang Dharma Clan’s Hwanseong Lineage in Gangwon Province and Monk-Sculptors Inseong and Chijun

1748년 강원지역 환성계 편양문중의 보월사 불사와 조각승 인성·치준

최수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reation of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sculptures involved not only skilled monk-sculptors but also the monks and patrons in the temples participating in bulsa. Therefore, to fully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sculpture cre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culptures themselves, the monk-sculptors who made them, and the monk clans that acted as “planners” of bulsa. In this regard,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Pyeonyang Dharma Clan and the monk-sculptors Inseong and Chijun, who led the 1748 Bowol-sa Temple bulsa, based on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of Baekdam-sa Temple and its excavated documents.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of Baekdam-sa Temple was originally created in 1748 at Bowol-sa Temple in Gangwon Province and enshrined in the Main Hall as one of the trinity of Amitabha Buddha, Sakyamuni Buddha, and Bhaisajyaguru Buddha. Bowol-sa Temple was a temple where Pyeonyang Dharma Clan lived for generat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1748, a bulsa project for five statues and nine paintings was conducted under the leadership of Hwawolseongnul. Hwawolseongnul, who was a disciple of Hwanseong Jian and had a regional base in Gangwon Province, initiated this bulsa project. The project drew participation from many members of the Pyeonyang Dharma Clan who were residing in the Gangwon region at the time, including Hoam Chejeong and Manhwa Wono. Meanwhile, chief monk-sculptor Inseong and second-place monk-sculptor Chijun, who played pivotal roles in the creation of Buddhist sculptures, have various activities confirmed through records[Balwonmun], uigwe, temple chronicles, and writings. Inseong, who participated in female patronage bulsa near the capital city, also served as a monk-artisan in the royal service as part of Bukhansanseong. He was involved in creating Buddhist sculptures at Pyeonyang Dharma Clan's temple in Gangwon, Bowol-sa Temple, as well as at Gimhwa Sutae-sa Temple. Chijun was the second-place monk-sculptor in all bulsa projects led by the chief monk-sculptor Inseong. He collaborated with the Pyeonyang Dharma Clan in Gangwon's northern region and participated in bulsa projects, even playing a leading role in some. Considering the activities of these two monk-sculptors, it is presumed that Chijun played a mediating role in Inseong's participation in the Bowol-sa Temple bulsa, which was conducted by the Pyeonyang Dharma Clan in Gangwon's northern region. Furthermore, Due to the large scale of the bulsa, it can be inferred that along with Inseong and Chijun, other monk-sculptors, as well as monk-artisans from Bukhansanseong who worked with Inseong, also participated in the projects. This paper has shed light on Gangwon’s Pyeonyang Dharma Clan, who planned the 1748 Bowol-sa Temple bulsa, as well as monk-sculptors Inseong and Chijun, who were active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areas, through records related to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of Baekdam-sa Temple. This is significant as it lay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monk clans and monk-sculptors in 18th-century Gangwon's northern bulsa, which have disappeared and been forgotten due to the Korean War and division of Korea. Additionally, this paper highlights how late Joseon Dynasty monk-sculptors not only served as monk-sculptors but als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sculptures within a multifaceted network that included relationships within the monk community and beyond, such as performing royal tasks in Namhansanseong and Bukhansanseong under the national system.

한국어

조선 후기 불상의 조성은 조각승뿐 아니라 불사가 이뤄지는 사찰의 승려와 시주자 등 다수의 참여로 이뤄졌다. 따라서 불상 조성의 배경과 과정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불사의 결과인 불상, 제작자인 조각승과 더불어 불사의 기획자인승려문중을 아울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각에 입각하여 본고에서는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그 내부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바탕으로 1748년보월사 불사를 주도한 환성계 편양문중과 조각승 인성·치준을 조명하고 그들의관계를 살펴보았다.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본래 1748년 강원도 평강 보월사에서 조성되어 대법당에 봉안된 아미타-석가-약사 삼존상 중 하나이다. 보월사는 조선 후기편양문중이 세거하던 사찰로, 평강 출신으로서 이곳에서 출가한 화월성눌의 주도로 1748년 불상 5존과 불화 9점을 조성하는 불사가 진행되었다. 편양문중의 명승환성지안의 제자이면서 강원도에 지역적 기반을 둔 화월성눌이 불사를 일으키자호암체정, 만화원오 등 당시 강원지역에 머무르던 다수의 환성계 편양문중이 이에 동참했다. 한편 불상 조성에 있어 중역을 맡은 수조각승 인성과 차조각승 치준은 발원문과 의궤, 사지, 문집 등 문헌 자료를 통해 다양한 활동상이 확인된다. 인성은 주로도성 인근의 여성 발원 불사에 참여한 조각승이자, 북한산성 소속으로서 왕실 공역에 차출된 승려 장인이었다. 그는 강원 북부에서는 편양문중의 세거사찰인 평강 보월사와 김화 수태사에서 불상을 조성했다. 한편 치준은 인성이 수조각승을맡은 모든 불상 조성 불사에서 차조각승을 맡은 인물이다. 치준은 강원 북부 환성계 편양문중과 교유하며 그 세거사찰에서 진행된 불사에 참여했으며, 중창 불사를 이끌기도 한 것으로 여겨진다. 두 조각승의 활동상을 고려하면, 강원 북부에서환성계 편양문중에 의해 진행된 보월사 불사에 인성이 참여한 것에는 이곳의 편양문중과 관련성을 보이는 치준이 매개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불사의 규모가 컸던 만큼 인성·치준과 더불어 활동하던 조각승, 인성과 함께 왕실공역을 수행했던 북한산성의 승려 장인들이 동참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관련 기록을 통해 1748년보월사 불사를 기획한 강원 북부의 환성계 편양문중과 서울·경기 및 강원지역에서 활동한 조각승 인성, 치준에 대해 밝혔다. 이는 한국전쟁과 분단으로 사라지고잊혀졌던 18세기 강원 북부 불사 속 승려문중과 조각승에 대해 이해하는 하나의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조선 후기 조각승이 조각승으로서뿐아니라 남·북한산성 등 국가 시스템 속에 편제되어 왕실 공역을 수행하는 승려장인으로서 형성한 관계, 승려 문중과의 관계 등 다층적으로 형성된 네트워크 속에서 불상 조성에 참여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조성발원문과 1748년 평강 보월사 불사
Ⅲ. 강원지역 편양문중의 평강 보월사 불사 기획과 배경
Ⅳ. 조각승 印性·緇俊의 활동과 강원지역 편양문중
1. 수조각승 北漢僧 印性
2. 차조각승 緇俊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최수민 Choi Sumin.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주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