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연구]

GVC 패러다임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원문정보

The Countermeasures of Korean Econom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GVC(Global Value Chain) Paradigm

유진만, 성봉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export structure is formed by processing stages and technology levels using panel data for China, France, Germany, Japa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aradigm shift of each country’s export to the world and China indicate that China is apparent in high-tech industries and that the brand power of the United States is relatively much high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empirical test results of panel data also demonstrates, that brand power is a crucial driving force behind their exports to the world and China in most countries and that patent sophistication index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exports to China in most countr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companies should make a great deal of effort to enhance brand power. Korean firms should further ameliorate the sophistication of their exports and expend a great deal of effort trying to increase the share of forward GVC participa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중국, 프랑스, 독일, 일본, 한국, 미국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단계 와 기술수준에 따라 수출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하였다. 주요국의 대세계와 대중 국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 기술수준이 높은(고위) 산업에서 중국의 약진이 눈에 띄고, 미국의 브랜드가치가 다른 주요국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게다가 패널데이터 분석결과, 브랜드가치는 주요국의 대세계 및 대중국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특허고급화지수의 경우 대중국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기업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글로벌 시장 진출과 수출 증대를 위해서는 브랜드가치를 높여야 한다. 둘째,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상품의 고급화와 GVC 전방참여를 높여야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2.1 한중 무역구조
2.2 브랜드가치와 무역
2.3 기술혁신과 무역
Ⅲ. 최근 동향
3.1 주요국의 대세계 패러다임 변화
3.2 주요국의 대중국 패러다임 변화
Ⅳ. 실증분석
4.1 연구모형 및 데이터
4.2 분석결과
Ⅴ. 결론
5.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진만 Jin-Man Yoo. 충남대학교 과학기술지식연구소 연구교수
  • 성봉석 Bongsuk Sung.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무역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