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학업 중단 위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상담사례 :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 이론에 기반한 격려중심 상담

원문정보

A Case Study of Counseling to Improv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Children at Risk of School Drop out : Encouragement counseling based on Adlerian theory

김학찬, 김은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encouragement-oriented individual counseling based on Adlerian personal psychology theor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y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a child at risk of dropping out of school.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 fifth-grade male student in Area C who is not participating in any curricular 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school, has difficulty controlling his anger, and is experiencing high levels of conflict in his relationships with school members. We selected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as key factors to treat the academic disengagement crisis and conducted 14 sessions of individual counseling to positively improve them.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 program, pre- and post-tests of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were conducted, as well as client reflections, interviews with classmates, and teacher observ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lient’s dropout crisis stemmed from “discouragement about life,”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a fallacy of private logic and an avoidant lifestyle attitude in the process of pursuing superiority in an inappropriate way. As a result of Adlerian counseling centered on encouragement,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dropout risk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school performance, with increased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Key finding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Adlerian theor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 이론에 기반한 격려중심 개인 상담이 학업 중단 위 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통해 학교 적응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C지역 소재의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으로, 학교의 교과/비 교과 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고, 분노 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학교 구성원들과의 관계에서 갈등 수준이 매우 높은 상황에 있다. 학업 중단 위기를 개선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자존감과 사회성을 선정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개인 상담을 14회기 진행하였다. 이후 상담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존감 및 사회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와 함께, 내담자 의 소감문, 학급 학생들의 인터뷰, 교사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의 학업 중단 위기는 ‘삶에 대한 낙담(discouragement)’에서 기인하여, 부적절한 방식의 우월성 추구 과정에 서 사적 논리의 오류 및 회피적 생활양식 태도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격려를 중심으로 한 아들러 상담을 실시한 결과, 학업 중단 위기 수준이 높았던 아동은 자존 감 및 사회성이 증가하면서, 학교 생활에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는 성과를 보였다. 주요 결과 에 대해 아들러 이론에 근거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참여자(내담자)
주 호소 문제 및 상담 시작 경위
연구 절차 및 방법
연구 도구
상담 과정
결과
아들러 개인 심리학에 기반한 사례 개념화
단계별 상담 내용
상담 후 변화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학찬 Hak-chan Kim. 창신초등학교
  • 김은향 Eunhyang Kim. 청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