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臺灣總督府의 ‘理蕃政策’과 원주민학살

원문정보

Indigenous Policies and Genocide of Indigenous Peoples of Taiwan Goverment-General

대만총독부의 ‘이번정책’과 원주민학살

김영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 October 27, 1930, a commemorative sports day was scheduled to be held at Wus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aichung. At around 8 a.m. on the same day, among the 11 indigenous villages in the Musa area, the natives of 6 villages that responded to the rebellion raided the event and killed about 100 Japanese. In retaliation for thi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obilized thousands of military guards to subdue the indigenous villages that participated in the rebellion and brutally kill hundreds of them. Although it occurred last in the history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in Taiwan, this event, which was the most involved and tragic, is called ‘Wushe incident’. The Seediq tribe, which caused the incident, is a lineage of the Taoist aboriginal people who mainly lived in the central part of Taiwan’s Central Mountains. Why did those who are famous as the most courageous tribe among the primitive people of the mountains cause the samurai incident? It leads to a too simplistic conclusion to explain the cause of the incident just because they were belligerent and brave. The samurai incident was a tragic ending caused by a combination of accident and misfortune. The reason for this lies in this policy, the indigenous policy t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has conducted since the takeover of Taiwan. The cause was the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inflicted on the natives of the Wushe area, and the resistance and struggle of the natives. The Taiwan Government-General called the warrior aboriginal rebellion an ‘extraordinary incident’. This is just an excuse for the Japanese colonial rulers to evade responsibility. Considering various records and circumstances, the Musa Incident was a ‘resistance’ carefully prepared by the natives. The Wushe Incident,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armed resistance of indigenous peoples in Taiwan, was the result of the intensification of the contradictions caused by the predatory nature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cultural assimilation movement.

한국어

1930년 10월 27일, 臺灣 臺中州 能高郡 霧社(현 南投縣 仁愛鄉)에 위치한 무사소학교 에서는 기념운동회가 열릴 예정이었다. 이날 오전 8시경 무사 일대 11개 원주민 부락 가운데 거사에 호응한 6개 부락의 원주민들이 행사장을 기습 일백여 명의 일본인을 살해하였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총독부는 수천 명의 軍警을 동원하여 거사에 가담한 원주민 부락을 토벌하여 수백 명을 무참히 살해하였다. 대만에서 벌어진 항일투쟁사에 서 가장 최후에 발생하였지만, 가장 참열하고 비장한 이 사건을 ‘霧社事件’이라 한다. 사건을 일으킨 싸이더커족(賽德克族, Seediq)은 대만 중앙산맥 중부에 주로 거주한 泰雅族 원주민의 한 계통이다. 山地 原住民 가운데서도 가장 용맹한 부족으로 유명한 이들은 왜 무사사건을 일으켰을까? 이들이 호전적이고 용맹하였다는 것만으로는 사건 발생의 원인으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단순화한 결론에 이르고 만다. 무사사건은 遠因과 近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비극적 결말이었다. 遠因은 대만 접수 이래 총독 부가 진행한 원주민정책, 곧 이번정책에 있다. 근인은 무사 일대 원주민들에게 가해진 압박과 차별, 이로 인한 원주민의 반발과 투쟁이었다. 대만총독부는 무사 원주민의 반항을 ‘돌발사건’이라 하였다. 이는 일본 식민통치자 들이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변명에 불과하다. 여러 기록과 정황들을 종합해 볼 때 무사 사건은 원주민들이 나름 치밀하게 준비한 ‘항거’였다. 대만에서 발생한 원주민 무장항 거의 대표적인 사례인 무사사건은 일본 식민지배의 약탈성과 문화동화운동이 초래한 모순이 격화되어 나타난 결과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대만총독부의 ‘理蕃政策’
Ⅲ. 霧社事件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신 Kim Young Sin.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