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the Global Supply Chain Restructuring in the Battery Industry and the China-centric Supply Chain Structure
초록
영어
In the battery industry, the expansion of domestic battery value chain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rapidly progressing due to the impact of IRA last year.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global supply chain in the battery industry will undergo a significant restructuring driven by the United States in the future, leading to the proliferation of blockization. However, the current China-centric battery supply chain has a high dependency on China and a high degree of centrality in terms of connecting with other countries, making it challenging to exclude China in the short term for the establishment of a global battery supply chain. The network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reveals that nodes from China are prominently present in all aspects, including lithium-ion batteries, cathode materials, anode materials, separators, and electrolytes, indicating the formation of a China-centric global network. Most notably, South Korea shows the strongest edge with China in the fields of anode and cathode materials, demonstrating interdependence. However, the ongoing global battery supply chain restructuring led by the United State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changes in this China-centric battery ecosystem. Therefore, it is a crucial moment for South Korea to reduce its dependency on the supply chain from China and rethink its strategy for the electric vehicle demand market in response to the supply chain restructuring led by the United States.
한국어
바이든 정부에서는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희토류 등 4대 공급망 정책을 추진하면 서, 미국은 중국에 의존된 공급망을 다시 미국으로 끌어오기 위한 정책들이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특히, 배터리 산업 분야에서는 지난해 IRA로 인해 미국내 배터리 밸류 체인 구축 확대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미국은 IRA 보조금 규정에 FTA 체결국 에서 가공된 소재에 대해서는 보조금을 수여할 수 있는 조항을 두면서, 향후 미국과 미국FTA 체결국대 중국으로 공급망이 진영화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향후 미국 주 도의 배터리 공급망 재편으로 인해 배터리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은 진블록화가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현재 중국 중심의 배터리 공급망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와 대중국 연결중심성 이 매우 높아 단기적으로는 중국을 배제한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구축은 어려울 것으 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2장 네트워크 분석 결과, 배터리 산업의 공급망 전 영역에 있어 서 중국의 노드와 엣지가 크고 굵게 나타나면서 중국 중심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형성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은 중국과 양극재와 음극재 분야에서 가장 굵은 엣지를 보이면서 교역 의존성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주요 양극재 기업이 모두 중국내 에 생산시설을 두고 중국에서 가공하여 수입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거나, 중국기업에서 양극재를 공급받아 생산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현재 미국 주도의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재편으로 인해서 이러한 중국 중심의 배터리 생태계는 변화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에 대한 공급망 의존도를 낮춰야 하고, 미국 주도의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여 전기차 수요 시장에 대한 전략을 다시 마련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있다. 따라서, 동 분야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공급망 다변화 및 현지시장형 해외투자 전략 등 의 마련이 필요하며, 공급망 전 영역에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차세대기술 개 발 전략이 필요하다.
목차
Ⅱ. 배터리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구조와 재편
Ⅲ. 중국 배터리 산업의 공급망 네트워크 분석
Ⅳ.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