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민성 교육의 기초로서 ‘자아 리터러시’ 교육 - 듀이의 성장하는 도덕적 주체 개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elf-Literacy’ Education as the Founda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 Focusing on Dewey's Concept of the Growing Moral Subject -

장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lf-Education to help humans grow as moral subjects. To achive this, firstly, it presents the core elements of the moral self that grows through John Dewey's ethics. Additionally, it explores the direction of moral self-education by examining moral psychology theories. Secondly, it proposes ‘The Self-Literacy’ as a necessary educational element in the process of growing into a ‘Self - Moral Self - Moral Subject’ and explores its possibilities. Specifically, 'The Self-Literacy' presents the stages of 'Expression-Reify-Reflection- Application and Reflection'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will help a person establish 'Self' in the process of acquiring or acquiring citizenship. I will consider its applicability in moral education through activities in which the steps can be implement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을 도덕적 주체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자아 교육의 중요성을 피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존 듀이의 윤리학 을 통해 성장하는 도덕적 자아의 핵심 요소를 제시한다. 또한 도덕 심 리학 이론을 고찰하면서 도덕적 자아 교육의 방향을 드러낼 것이다. 그리고 둘째, ‘자아-도덕적 자아-도덕적 주체’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필 요한 교육 요소로서 ‘자아 리터러시’를 제안하며 그 가능성을 탐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아 리터러시’는 한 인간이 시민성을 획득했거나 획득해 가는 과정에서 ‘자신’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관점에서 ‘드러냄-구체화-반영-적용 및 성찰’의 단계를 제시하고, 이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활동을 통해 도덕교육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고찰해볼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도덕적 주체의 중추
1. 도덕적 자아
2. 성장하는 자아
Ⅲ. 도덕적 성장의 선결 요건
1. ‘자아 리터러시’
2. 자아의 확장으로서의 시민성
Ⅳ. 도덕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1. ‘자아 리터러시’의 효용
2. 단계별 활동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혜진 Jang, Hye-jin.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