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저출산 대응 정책 비교분석 (육아휴직과 아동수당의 비정형 데이터 중심으로)

원문정보

Comparative Analysis of Low Fertility Response Policies (Focusing on Unstructured Data on Parental Leave and Child Allowance)

금은영, 김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parental leave and child allowance, two major policies among solutions to the current serious low fertility rate problem, using unstructured data, and sought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related response policies based on this. The collection keywords were “low fertility + parental leave” and “low fertility + child allowance”,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text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network visualization, and CONC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arental leave was found to be a realistic and practical policy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rates, as data analysis showed more diverse and systematic discussions than child allowance. Second, in terms of child allowanc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information and interest in the cash grant benefit system, including child allowance, but there were no other unique features or active discussions. As a future improvement plan, both policies need to utilize the existing system. First, parental leave requires improvement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blind spots in order to expand the system, and second, child allowance requires a change in the form of payment that deviates from the uniform and biased system. should be sought, and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target age.

한국어

본 연구는 현재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의 해결방안 중 두 가지 주요정책인 육아휴직과 아동수당의 비정형 데이 터를 활용하여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관련 대응 정책의 향후 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수집 키워드는 “저출 산+육아휴직”, “저출산+아동수당”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텍스트 빈도분석, 중심성 분석, 네트워크 시각화, CONCOR 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육아휴직은 아동수당 보다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들이 데이 터 분석상 나타남으로써 저출산 대응 정책에 있어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동수당은 데 이터 분석상 아동수당을 포함한 현금지원급여제도에 대한 정보와 관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외의 특이 점이나 적극적인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개선방안으로 두 정책 모두 기존 제도의 활용에 있어 첫째, 육아휴 직은 제도의 확산을 위한 근로환경과 사각지대의 개선이 필요하며, 둘째 아동수당은 지급에 있어 획일적이고 편중된 것에서 벗어난 형식의 변화가 모색되어야 하며, 수급연령 확대를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저출산 대응 정책
2.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2. 자료처리
3.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텍스트 빈도분석
2. 중심성 분석 및 네트워크 시각화
3. 네트워크 유의성 검증
4. CONCOR(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분석
Ⅴ.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금은영 Eun-Young Keum. 정회원, 위덕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생)
  • 김도희 Do-Hee Kim. 정회원,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