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센서 기반 미디어 설치 제작에서의 인터랙션 설계 유형

원문정보

Interaction Design Type in sensor-based meida installation Artwork

서상희, 이정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interaction design types in the production of sensor-based media installations combining Arduino, an open source platform. By typifying the realized media installation works, we seek to explore the diversity and meaning of new media art expression method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method of media art, the interaction design type in the production of media installation using sensors was divided into physical movement through motor control, 'artificial plants using ultrasonic sensors and motors’, and 'virtual garden using light and sound sensors'. ‘Moving images using tilt sensor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media software can be selected as an appropriate technology for the work and can be presented as an example of artistic expression that is evolving into various expressions.

한국어

본 연구는 오픈 소스 플랫폼인 아두이노를 결합한 센서 기반 미디어 설치 제작에서의 인터랙션 설계 유형에 대한 것이다. 구현한 미디어 설치 작품들을 유형화하여 센서기반의 미디어아트 표현 방식의 다양성과 그 의미를 모색 하고자 한다.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 방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센서를 이용한 미디어 설치 제작에서의 인터랙션 설계 유형을 모터 제어를 통한 물리적 움직임, 초음파 센서와 모터을 활용한 ‘인공식물, 빛, 사운드 센서 활용한 ‘가상정원’, 기울기 센서를 통한 무빙이미지, 4가지로 분류한다. 이를 통해 미디어 소프트웨어가 작업에 적합한 기술로 선택할 수 있고 다양한 표현으로 진화하고 있는 예술 표현의 사례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논문의 배경
1.2 연구 방법
Ⅱ. 참여형 예술
2.1 미디어 아트에서의 상호작용방식
2.2 ‘오픈 소스 플랫폼’ 인터페이스
Ⅲ. 인터랙션 설계
3.1. 모터 제어를 통한 물리적 움직임
3.2. 초음파 센서와 모터을 활용한 ‘인공식물’
3.3. 빛, 사운드 센서 활용한 ‘가상정원’
3.4 기울기 센서를 통한 무빙이미지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서상희 Seo, Sang Hee. 정회원,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강사
  • 이정은 Lee, Jung Eun. 정회원,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