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뇌파 분석을 이용한 시각 심리 안정 영상의 우울감 완화 효과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pression Relief Effect of Visual Psychological Stabilization Image Using EEG Analysis

강그림, 임수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overnment's strengthening of the standards for mentally ill patients and expanding the scope of examinations to the entire nation reflects the changing times. According to the OECD's announcement (2021),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has more than doubled since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th Korea's prevalence ranking first. However, only 12.1% of those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mental disorders received counseling and treatment from experts. The difference between depression and simple depression is significant depending on whether it is medically treated or temporary, but it can be seen that the continuation of depression is depression. In order to reduce this depression, Kandinsky's work was visualized and created. In a study conducted by changing the playback speed of the produced Kandinsky image, beta and gamma values, which showed the largest deviation when compared to depressive patients and normal people,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viewed at 90fps, which was most effective in relieving depression. Artistic creations are bound to be accep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perspective, but it is hoped that research that can improve the phenomenon of individuals suffering from depression by integ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raditional mental health approaches will be further developed and widely used for treatment.

한국어

정부가 정신질환자의 기준을 강화하고 검진 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한 것은 달라진 시대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OECD의 발표(2021)에 따르면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로 이후 우울증과 불안증의 발생이 2배 이상 증가 했 으며, 그 중 한국의 유병률이 1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러나 정신장애로 진닫받은 사람 중 전문가의 상담과 치료를 받은 비율은 12.1%에 불과하다. 우울증과 단순 우울감의 차이는 의학적으로도 치료 대상이냐 일시적인 현상이냐에 따라 그 의미 가 상당히 크지만, 우울감의 지속이 곧 우울증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우울감의 감소를 위해 칸딘스키의 작품을 영상화하여 창작물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칸딘스키 영상의 재생 속도에 변화를 주어 진행한 실험에서 우울증 환자와 정상인 을 비교했을 때 가장 큰 편차를 보였던 베타와 감마값이 90fps로 시청하였을 때 많이 증가하는 수치를 보여 우울감 완화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예술적 창작물은 개인의 시각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 질 수 밖에 없지만, 향후 인공지능과 전통적인 정 신 건강 접근 방식을 통합하여 우울증을 겪는 개인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가 더욱 발전하여 치료에도 널리 이용되기 를 희망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논문의 배경
2. 연구 방법
Ⅱ. 뇌파와 시각 심리
1. 뇌파 기반 감정인식
2. 추상적 미술 작품 감상에 따른 뇌파 변화
3. 반복 형태의 예술이 미지는 치유 요인
Ⅲ. 우울감 완화를 위한 시각 심리 안정 영상
1. 작품 개요
2. 전시 및 평가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강그림 Gurim Kang. 경북대학교 대학원 디지털미디어아트학과 석사과정
  • 임수연 Sooyeon Lim.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