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예비교사의 과정중심 평가 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활용

원문정보

Using Project-Based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권혁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basic approach of national curriculum shifted from contents-based to competency-based, process-fortified assessment has been stressed. Accordingly, the focus of teacher’s role as an evaluator changed to process-fortified assessment, which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as well.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novations of teacher development programs on pre-service teachers’ process-fortified assessment competency. To achieve this goal, C University of Education implemented a course which was restructured by using PBL, and analyzed its effects on enrolled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By systematically analyzing data of observation notes, project outputs, and opinion reports, it was found that PBL approach to the course restructuring had positive impacts on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bout process-fortified assessment. This implies that providing learning experience reflected by process-fortified assessment perspective, like PBL, can play an important role to the development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ble to provide methods of innovat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developing process-fortified assessment competencies of teacher development institutions.

한국어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기본적 접근방법이 내용중심에서 역량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과정중심 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의 평가자로서의 역할 역시 과정중심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으며, 임용을 앞둔 예비교사들에게도 과정중심 평가의 역량을 개발하는 것은 중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과정중심 평가 역량 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원양성대학 교과목을 개선하여 운영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 교육대학교에서 운영되는 한 교과목을 PBL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고 과정중심 평가의 관점에서 예비 초등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수강생들의 프로젝트 결과물, 관찰노트, 수강생 반응 등의 자 료 분석을 통해 PBL 활동 경험이 예비 초등교사들의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PBL과 같이 과정중심 평가관이 반영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예비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교사의 과정중심 평가 역량 개발을 위한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혁신을 위한 구체적 방법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PBL과 과정중심 평가
1. PBL의 개념과 원리
2. 과정중심 평가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2. 교과 재구성
3. 교과 운영
4.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1. 프로젝트 결과물 분석
2. 발표 및 피드백 내용 분석
3. 수강생들의 소감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권혁일 Kwon, Hyuk-il. 정회원 청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