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2030대 여성의 미술치료 키트 참여 경험 연구

원문정보

Studying Women's Experiences with Art Therapy Kits in the 2030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김보현, 박보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aim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art therapy kit based on the findings of a review of women's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the art therapy kit in the 2030s. After women in their 2030s experienced the developed art therapy kit for one month, we organized two homogeneous groups of 8 art psychotherapy majors and 5 non-majors to collect data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them using grounded theory methods. In the end, 100 converted meaning units, 16 subcomponents, and 5 components were derive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experience of art or art therapy-based kits in Korea, so it is important for u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kits. In addition,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insights into themselves and their emotions based on the accumulated art therapy kit outputs through immersion in emotion exploration and recognition, and these experiences led to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of the need and value of developing art therapy kits. The individual and unique outcomes of the art therapy kits became evidence of self-awareness, confirming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kits as a tool for emotion exploration and recognition and for emotional change and resolution.

한국어

우리는 2030대 여성의 미술치료 키트 참여 경험 고찰과 도출된 결과를 통해 미술치료 키트를 수정 및 보완하 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는 개발한 미술치료 키트를 2030대 여성들이 1개월간 체험한 후, 예술심리치료 전공자 8명, 비전공자 5명인 2개의 동질 집단을 구성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 였다. 최종적으로 100개의 전환된 의미단위, 16개의 하위 구성요소, 5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국내에 미술 혹은 미술치료 기반 키트 개발 및 경험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우리는 미술치료 키트 경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감정 탐색 및 인식을 위한 몰입을 통해 축적된 미술치료 키트 결과 물을 기반으로 자신과 감정에 대한 통찰을 경험하였고, 이러한 경험은 참여자들이 미술치료 키트 개발의 필요성과 가 치를 인식하는 것으로 연결되었다. 개별적이고 독창성이 있는 미술치료 키트의 결과물은 자신을 인식하는 증거물이 되어 미술치료 키트가 감정 탐색 및 인식의 도구와 감정의 변화 및 해소를 통한 치료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점에 서 의미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도구 및 자료 수집
3. 윤리적 고려
4. 자료 분석
5. 질적 연구 평가 기준(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Ⅲ. 연구 결과
1. 미술치료 키트 사용 전 감정 경험
2. 미술치료 키트 첫 경험
3. 미술치료 키트의 지속적 경험
4. 미술치료 키트 개발의 필요성
5. 미술치료 키트 보완사항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보현 Kim, Bohyun. *정회원, 전주대학교 예술심리치료학과 박사과정, 전주덕진아동보호전문기관 미술심리치료사
  • 박보람 Park, Boram. 정회원, 전주대학교 예술심리치료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